![]() |
송복섭 교수 |
어느 날 일러준 대로 차를 몰고 길을 찾아 나섰다. 그때만 해도 내비게이션이 보편화하지 않은 터라 말로 들은 정보를 거리에 대응해가며 감으로 찾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나타난 골목이 나를 아연실색게 했다. 깊이를 알 수 없는 끝도 모를 긴 골목이 그저 앞으로만 진행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었다. 순간, 말로만 듣던 역 앞 무서운 동네 얘기가 떠올랐다. 길이 좁아 차를 되돌릴 수도 없고, 애초에 그 골목에 볼일도 없었는데 누가 자신의 구역을 침범했다고 시비라도 걸면 어쩌나 하는 걱정과 혹여 있을지 모를 해코지까지 연상됐다.
그러나 전진하면 할수록 그 골목은 매력으로 넘쳐 보였다. 폭은 좁지만 둘러싼 건물이 높지 않아 소위 휴먼스케일 공간을 이루고, 집 앞에는 널린 빨래와 함께 플라스틱 화분에 정성스레 가꾸는 듯한 꽃과 채소가 예쁜 경관을 만들며, 70년대쯤 만들어진 것 같은 간판들이 정겨운 정취를 만들고 있었다. 물론 해코지도 당하지 않았고 시비를 거는 사람도 없었다. 그저 공연한 선입견이 불안과 걱정을 키운 것뿐이었다.
얼마 뒤, 여러 사람이 있는 자리에서 내가 체험한 ‘대전역마’을 풍경을 전하면서 복고풍 영화를 촬영하는 장소로 활용했으면 좋겠다는 아이디어와 대전역에서 가까운 이점을 살려 커피숍과 간이음식점들로 가득한 거리로 만들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새로운 발견 삼아 자랑스럽게 낸 주장에 돌아온 대답은 뜻밖이었다. 대전시민에겐 그곳이 혐오의 대상이며 조만간 재정비촉진사업으로 공간을 일소할 예정이라는 것이었다.
그 후로 십여 년이 지났다. 대규모 개발사업은 이뤄지지 않았고, 그 사이 공용주차장이 생겼으며 민간건물 몇 채가 낡은 건물을 헐고 들어섰다. 어느 자리 회의를 마치고 돌아서는 내게 누군가 말을 걸어왔다. 십여 년 전 생뚱맞은 아이디어에 면박을 준 것이 본인이며, 그때는 엉뚱하다고 생각했으나 도시재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달라진 것처럼 자기 생각도 변했고 지금쯤은 그 생각대로 추진해봄직도 하다는 것이었다.
작년부터 대전역 일원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혁신도시 사업도 대전역세권지구에 지정됐다. 쪽방촌 도시재생이란 이름으로 공공주택사업도 이 지역에서 추진한다. 그동안 민간단체에서 봉사 차원으로 운영하던 프로그램들에 공적 지원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쪽방 주민들의 심리치료와 직업교육, 자활을 지원하는 생활지원센터도 운영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쪽방이란 이름 대신 대전역마을이라 고쳐 부를 것을 제안한다. 이 동네 원래 이름이 대전역마을이었다고 하는데, 슬그머니 쪽방촌이란 명칭이 똬리를 틀었다. 대전역마을은 다른 지역에 비해 주민들 간의 유대가 강하다고 한다. 굳건한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개발 후에도 마을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숙제가 우리에게 남겨졌다.
그동안 대전역마을 주변으로 의미 있는 변화들이 일어났다. 공공미술사업으로 마을이 좀 더 예쁘게 단장됐고, 젊은 감성의 커피숍도 여럿 등장했다. 지지난 주에는 한남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생들이 대전역마을을 변모시키기 위한 9박 10일간의 워크숍을 마치고 결과물을 내놓았다. 화려한 이미지와 멋진 모형들의 이면에는 이 마을의 정겨운 모습이 지켜지기를 희망하는 바람도 담겨있었다.
/송복섭 한밭대 건축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