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성 화분정보사이트 |
이것은 재채기, 콧물, 눈물,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이 어려운 정도로 심한 경우까지 있다. 카훈쇼(花粉症)는 국민의 3분의 1정도가 고생한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이 정도면 국민병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은 일본인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이주한 외국인도 일본에서 살다보니 꽃가루알레르기로 고생한다는 말들을 종종 듣게 된다. 요즘 같은 코로나 시대에서는 겹치는 증상이 있어서 개인이 구별하기는 어려워 이중으로 힘든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봄이 되면 황사와 미세먼지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기에 일기예보와 함께 황사와 미세먼지 정보를 자주 제공한다. 일본도 환경성(環境省) 관측시스템을 통해서 꽃가루예보를 내보내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웨더뉴스는 loT화분관측기 꽃가루로봇(Poollen robot)를 일본 전역의 가정, 병원, 기업 1000곳에 설치하고 하루사이에도 변하는 꽃가루 양을 시간 단위로 앱과 Web사이트를 통해서 알리고 있다.
이런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범은 대부분 삼나무와 편백나무 꽃가루이다. 한국에서 송화가루가 날리는 것처럼 나무에서 노란 꽃가루가 날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본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국가재건에 필요한 목재를 얻기 위해 빨리 자라는 삼나무와 편백나무를 국가정책으로 전국적으로 심은 것이 지금의 꽃가루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일본 임야청 조사에 따르면 현재 일본국토의 70%인 2505만ha이 산림지역인데 그 약 30% 정도에 삼나무와 편백나무가 차지하는 상황이다.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 입장에서는 병의 원인인 나무를 벌목해서 알레르기가 적은 나무로 교체되는 것이 빠른 해결책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도 쉽지는 않다. 왜냐면 삼나무는 이탄화탄소를 다른 나무에 비해 많이 흡수해서 세계적 온난화현상 완화에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고 또한 벌목 비용과 인력의 고령화도 나무의 교체를 어렵게 한다. 정부가 교체작업을 하고 있지만 넓은 임야에 있는 나무를 교체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전망이다. 이런 이유로 카훈쇼는 당분간 개인이 약물치료 등으로 대책을 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오리 명예기자(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