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서구 둔산동 3·8의거둔지미공원에 세워진 3·8민주의거기념탑 |
1960년 민주화에 대한 갈망이 만들어낸 3·8 민주의거의 흔적이 대전 곳곳에 남아 있다. 오늘날의 민주주의가 뜨거웠던 그 시대를 지나 만들어졌다는 것을 되새길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산물이다.
지난 5일 정오께 대전 서구 둔산동에 위치한 3·8의거둔지미공원. 높게 하늘로 치솟은 3·8기념탑이 그날의 기억을 간직한 채 우뚝 서 있었다. 25m가량의 높이는 공원 밖에서도 위엄을 드러낼 정도다. 이 탑과 옆에 자리한 커다란 원형 구 모양의 조형물은 2006년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와 대전·충남 4·19혁명동지회 주도로 만들어졌다. 1960년 3월 자유와 정의를 부르짖던 그 정신을 선양하고 전승하기 위한 움직임이었다. 기념탑 맨 꼭대기 청동불꽃과 잘 뻗은 돌기둥은 3·8민주의거의 함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다. 돌기둥 아래쪽 부조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고뇌하고 행동하는 젊은이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했다. 높은 탑 옆에 놓인 대형 구(球)는 자유와 민주의 큰 열매를 의미한다.
시민들은 산책 중 3·8기념비를 자세히 들여다보며 관심을 가졌다. 사진을 찍거나 조형물에 새겨진 글귀를 읽으며 고개를 주억거렸다. 이날 공원에서 만난 한 시민은 3.8의 흔적을 보기 위해 대구에서 방문하기도 했다.
|
대구에서 방문한 한 남성이 기념탑 사진을 찍고 있다. |
다음으로 발길을 돌린 곳은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대전고. 3·8민주의거를 이끈 대전고 동문들이 1962년 헌정탑·2013년 기념비를 세웠다. 정문으로 들어가 학교 뒤편으로 향하자 기념비가 한 데 모여 있었다. 2013년 세워진 기념비에는 "여기를 거쳐 가는 대능의 젊은이여! 불의를 보고 분노할 줄 아는 그날의 용기를 되새겨 항상 깨어 있어라"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
대전고 교정에 세워진 기념비 |
마지막으로 찾아간 곳은 동구 자양동에 위치한 우송고다. 정문을 따라 올라가자 커다란 기념비가 눈에 들어왔다. 2002년 우송고로 교명을 바꾸기 전 당시 대전상고 학생들 역시 3·8의 주역이다. 1960년 3월 8일 대전고를 중심으로 항쟁이 일어나고 이틀 뒤인 10일 대전상고 학생들이 거리에 나섰다. 학생 600명가량은 대전역과 충남도청 앞까지 행진하며 '학원의 정치도구화 반대'를 외쳤다. 당시 1·2학년이었던 6·7회 졸업생은 지난해 졸업 60주년을 맞이 기념비를 세웠다.
|
우송고 교정에 세워진 기념비 |
|
기념비 뒤쪽 |
오는 2024년 3월 개관을 목표로 추진 중인 3·8민주의거 기념관이 중구 선화동에 건립되면 대전 전역에 있는 각각의 흔적과 함께 보다 많은 이들이 3·8민주의거를 기리고 계승할 수 있을 전망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6일 3·8민주의거의 주역들과 함께한 토요산책을 통해 이곳을 둘러보기도 했다. 허 시장은 "역사에 대한 양심이 미래 세대에게 교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