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민주의거 당시 학생들이 경찰들과 맞서 싸우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담긴 내용이다. 헌법 지도 이념과 권리를 규정한 헌법 전문엔 4·19 정신이 명시돼있다. 그러나 4·19 혁명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 앞서 지역별로 일어난 민주의거가 없었다면 지금과 다른 역사가 펼쳐졌을 수 있다.
당시 대전지역 고등학생들이 항거한 3·8 민주의거는 4·19 혁명의 도화선이었다.
2·28 대구 학생의거를 이어받아 대전·충청에 민주·정의·자유의 정신을 뿌렸고, 이는 3·15 마산의거로 이어져 4·19 혁명을 촉발했다. 이승만 독재정권을 심판한 4·19 혁명의 원동력이었던 것이다. 지역적으론 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이자, 지역 민주화운동의 효시로서 의미가 깊다.
하지만 현실은 3·8 민주의거의 역사적 가치를 제대로 담지 못하고 있다.
민주화 공헌을 인정받아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이듬해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됐지만, 다른 민주의거에 비해 그 위상은 현저히 낮다. 2·28 대구 학생의거는 첫 도화선, 3·15 마산의거는 결정적 단초로 주목받는 반면 3·8 민주의거는 평가는 고사하고, 인지도조차 낮은 수준이다.
국가보훈처의 민주운동 10년 주기 기념사업 기본구상 연구에 따르면 3·8 민주의거를 잘 모른다는 응답은 44%에 달했다. 약간 모름도 18%로, 사실상 절반 이상이 모르는 상황이다. 잘 안다는 9%, 약간 안다는 12%에 불과했다. 기념사업도 배 이상 차이가 난다. 전국적인 인지도 확산과 재조명이 시급한 이유다.
▲3.8 민주의거 당시 학생들에게 진압봉을 휘두르는 경찰의 모습. /사진=대전시 제공 |
사전 발각돼 경찰과 학교 측 방해에도 학생들이 거리에 나서고, 고교생들이 연합시위형태를 계획한 점이 민주의거로써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2·28 대구 학생의거를 3·15 마산의거로 이어주는, 전국적 시위 확산에 불을 댕긴 역할도 주목할 점이다.
3·8 민주의거를 민주시민혁명의 출발선으로 재평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3·8 정신이 4·19 혁명과 5·18 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까지 이어진 만큼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하자는 얘기다.
대전고 재학 당시 시위에 참여했던 정구종 전 동아일보 편집국장은 "3·8 민주의거 등 시민혁명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이론 정립 작업이 필요하다"며 "지역 간, 세대 간 교류의 기회도 늘려야 한다. 시민혁명의 공감대를 확산해 국민 모두의 기억으로 인식하고 보전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3·8 민주의거의 가치와 위상 재정립을 위한 정책추진에 나섰다.
시 관계자는 "3·8 정신을 시민정신으로 승화하고, 현재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한편 전국적인 확산을 목표로 다양한 홍보·참여 정책을 펼칠 것"이라며 "2025년까지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전국 민주화 운동 단체와 연대하는 등 3·8 민주의거가 지역을 넘어 전국적으로도 재조명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