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 |
코로나19 여파로 공공기관이 청년 신규채용을 줄여온 데다, 기업 역시 신규 채용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서다. 또 수시채용 등으로 취업 문턱이 더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다.
4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청년 고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고용의무제 적용 대상 공공기관(지방공기업 포함) 436곳의 청년(만 15∼34세) 신규 채용 인원은 2만 2798명으로, 전체 정원(38만 7574명)의 5.9%에 그쳤다.
2019년의 경우엔 청년고용의무제 적용 대상 공공기관 442곳의 청년 신규 채용 인원은 2만 8689명으로, 정원(38만 5862명)의 7.4%였다. 청년고용의무제 적용 대상 공공기관의 청년 신규 채용 규모가 지난해 5891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부정적 상황과 더불어 공공기관의 청년 신규채용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대전에서 회계사를 준비하다 취업 전선에 뛰어든 전모(29) 씨는 "수시채용이 많아지는 것은 취준생에게 서류를 낼 수 있는 기회조차 줄어드는 것"이라며 "경력직을 우대하면 신입 채용 자리가 줄어들 것이고, 경쟁은 더 심화될 것이란 생각에 우려스럽다"고 호소했다.
공공기관뿐 아니라 기업에 대한 채용계획 전망도 어둡다. 최근 취업정보사이트 캐치가 대기업과 중견기업 1468곳을 대상으로 상반기 채용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반기 채용을 확정한 회사는 전체의 7.6%에 그쳤다. 아직 채용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기업은 89.3%에 달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경기가 침체 되며 대규모 공채 선발을 망설이거나 수시 채용으로 전환한 데 따른 것이다. '올해 채용계획이 없다'고 밝힌 기업은 3.1%에 불과했지만, 수시 채용에 따른 경력직에 대한 비중이 늘어날 전망도 내놨다. 기존 상·하반기에 나눠 채용에 나섰던 과거와 달리, 올해엔 '수시 채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55%에 달했다.
이에 따라 청년 취업난 악화에 따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올해 만료되는 청년 의무채용 제도를 2023년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청년 취업난이 악화 됐다는 판단이다.
김영중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청년들의 고용 상황이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에 공공기관 청년고용의무제는 청년 고용 상황 개선을 위한 공공부문의 약속"이라며 공공기관의 의무 이행을 당부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