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철웅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장 |
그렇다면 지역에 대한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그 정체성은 공동의 기억이 공유되고 전승될 때 의미를 가진다. '두루치기'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고기보다 두부가 먼저 생각난다면 아마 대전 시민일 확률이 높다. 같은 공간을 경험한 세대적 동질성 또한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보문산 케이블카의 기억, 겨울에 목척교 아래나 갑천에서의 썰매타기, 아카데미극장에서의 영화 관람 같은 기억들은 소소하지만 어떤 거창한 역사적 경험보다 강한 유대감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단편적인 기억들은 몇 백 년 뒤에도 자연히 남아 전해질 것이라 생각하기 어렵다. 기억은 유전(遺傳)되지 않기 때문이다. 기억이란 기록이라는 형식을 통해 또 사람들의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세대를 이어 '전승'된다.
"親御弓矢 馳馬射獐 因馬?而墜 不傷 顧左右曰 勿令史官知之."《태종실록》에 기록되어 있으며 온라인상에서도 이따금 회자 되곤 하는 유명한 일화이다. 사냥하다 말에서 떨어진 태종이 주변을 돌아보며 이 사실을 사관이 알지 못하게 하라고 했지만, 사관은 있는 그대로 기록해 둔 것이다. 결국 실록에까지 남겨져 지금의 우리도 그 날 일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에 대한 성실함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궤》 등으로 대표되는 조선시대 뿐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이었다. 그리고 그들이 가진 기록의 DNA는 현대의 우리에게도 남아 있는 듯하다.
국가의 기억을 정리하여 편찬하는 곳이 '국사편찬위원회'라면 시(市)의 역사를 편찬하는 곳은 '시사편찬위원회'이다. 대전시청 12층에 있는 '대전광역시사(史) 편찬위원회(시편)'는 일반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지난 30년간 대전 시민들의 공간적 경험과 연대기적 기억들을 묵묵히 기록해 왔다. 그 외에도 몇 가지 예를 들자면 한국사 교과서에 실려 우리에게 익숙한 망이·망소이 난이 일어났던 중심지역이 대전 탄방동이었다는 것과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인 신채호의 고향이 대전이라는 사실(史實) 등에 대해, 관련 자료들을 모으고 그 자료들을 통해 지역 연구자들의 학술활동을 지원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올해도 시편에서는 대전의 역사를 다양한 시각으로 풀어낸 《대전문화》와 코로나19라는 감염병 대유행의 시국을 반영하여 대전의 의료체계와 위생관념을 다룬 《학술총서》, 우리 시 초등학생을 위한 《우리고장의 역사와 문화》 등을 포함한 몇 종의 도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인간의 삶이 응축된 기억의 공간, 즉 도시의 역사를 한데 모아 정리하고 기록하는 대전광역시사 편찬위원회의 역할은 또 다른 의미에서 대전의 미래가 아닐까 생각한다. /손철웅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