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중도일보DB |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쏠림현상이 맞물려 정원 모집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1일 진학사에 따르면 접수 마감된 최종 추가모집 경쟁률을 보면 한남대의 경우엔 추가모집 2차에서 29명 중 6명이 지원해 23명이 미달 됐다. 이 중 종교 관련 학과인 기독교학과 12명 미달을 포함하더라도 99%대를 보였다. 우송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11명이 미달돼 사실상 100% 수준을 보였다.
다만 일부 사립대에선 정원 모집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분석이다. 대전의 A대학은 추가모집에서 인원 211명이 미달 됐다. 또 B대학과 C대학은 각각 204명, 141명이 미달 됐다. 여기에 추가모집 등록 인원 중 해당 대학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미달 인원수는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립대의 경우 충남대는 추가모집 인원 57명 중 1533명이 등록하면서 추가모집 경쟁률이 26.89대 1을 보였다. 한밭대의 경우 10명 내외로 미달 되면서 99%대의 등록률을 보였다.
이처럼 대학 미달사태가 나오는 이유로는 학령인구 감소가 꼽힌다. 학생 수보다 대학 모집 인원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2021학년도 수능 응시자는 43만여 명으로, 대학 입학정원인 49만여 명 보다 크게 모자라 역전 현상이 대두 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과 지방 대학 사이의 경쟁력 격차, 경제 활동·생활 기반 차이 등으로 점차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데다, 수도권 경쟁률까지 낮아지면서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는 것도 지역대엔 직격탄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대학의 특성화 확립이나, 경쟁력이 없는 학과의 인원 감축 등 학과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대전권 대학에서도 학생을 유입할 수 있는 특성화 등에 따른 자구책을 확립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이뿐 아니라 지방대학 정원 미달이 가속화되면서 수도권 대학 정원 축소 등의 상생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올해 지역대 경쟁률은 최초로 3대 1 이하로 하락했는데, 지역대학의 위기는 지역사회의 위기와도 맞물리는 만큼, 전방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입시 학원 관계자는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점차 벌어지면서 지방 대학의 자구노력만으로는 서울·수도권 대학 집중화 현상을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방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면서도 "지역대에서도 자구책을 찾는 등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