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민이 유성온천역 인근 인도를 점령한 공유 전동킥보드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신성룡 기자 |
월평동에 거주하는 문모(70) 어르신은 "인근에만 5대가 인도에 방치돼 많이 불편하다. 어제도 지족역을 이용하는 데, 전동킥보드가 길을 막고 있었다"며 "그나마 버스정류장 옆은 양반이다. 주택가 곳곳에도 방치돼 있고 남의 집 대문 앞에도 있는데 움직이면 소리가 나서 여성들은 놀라기 일쑤다"고 토로했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공유 전동킥보드의 주차문제가 새로운 민원으로 부상했다. 어디서나 타고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무분별하게 곳곳에 방치돼 있는 데다, 한쪽으로 옮길 수도 없어 통행 방해는 물론 충돌 사고까지 우려하고 있다.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8개의 공유 킥보드 업체가 약 1800대의 전동킥보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대여와 반납의 장소가 정해지지 않는 '프리플로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정 반납 장소가 없다 보니 일부 이용자들은 보도나 좁은 골목 한가운데 내버려 두고 떠나는 일이 많아 민원이 갈수록 늘고 있다.
대전 유성온쳔역 인근 인도에 즐비해 있는 공유 전동킥보드. 신성룡 기자 |
유성에 사는 김모(40) 씨는 "공공이 사용하는 땅에 구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공공킥보드를 주차해 시민들의 통행을 방해하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공유 킥보드를 이용하는 일부 시민을 위해 대전시민 전체가 불편을 겪는 셈"이라고 하소연했다.
이 같은 현상은 서구, 유성구를 비롯해 대전 곳곳에서 빚어지고 있으며 해마다 공유 킥보드가 늘어날수록 방치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공유 킥보드를 아무렇게나 내버려 둬도 자치구에선 이를 단속하거나 관리할 방안이 없다는 점이다. 지난해 12월 시행된 도로교통법 개정안에는 공유 킥보드의 주차기준 등 이용질서에 관한 근거를 마련하지 않았다.
대전 서구 둔산동 인도에 방치된 전동킥보드. 신성룡 기자 |
자치구 관계자는 "길거리에서 불편하다고 민원전화나 국민신문고를 통한 신고가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명확한 처리 기준이 없어 건설과, 주차행정과, 교통지도과 등 어느 부서에서 담당할지도 정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현재까진 공유 킥보드 업체에 전화해서 빨리 치우라고 말하는 정도가 최선"이라고 설명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
대전 서구 갈마역 버스정류장 인근에 공유 전동킥보드가 세워져 있다. 신성룡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