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최경환 의원이 공개한 대한체육회의 2019년 '공공스포츠클럽 성과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회원, 재정자립,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등의 개선이 필요해 70점 이하의 평가를 받은 클럽이 전체 53개 중 47.2%(25개)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클럽들은 연간 목표 회원 수(1년 차 200/300명, 2년 차 350/500명, 3년 차 500/700명)를 달성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목표 회원 수를 달성하지 못한 클럽이 전체 55개 클럽 중 47.3%(26개)에 달하며, 이 중 9개는 50% 미만의 회원 수를 확보했다는 보고다.
실제로 공모 경쟁률도 급감했고, 선정된 클럽이 게시를 못 하고 운영 준비 중이라는 보고와 공모가 안 되어 재공모를 한다고 한다.
공공스포츠클럽은 선정된 후 3년까지 국가 지원이 이뤄지지만, 선정 후 법인설립, 국가 지원, 실제 운영까지 평균 6개월이 소요돼 대부분의 스포츠클럽이 정상적인 운영을 시작하지 못한 채 1년 차 사업을 완료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포츠클럽 용역에 선정된 클럽마다 용역 조건인 전문선수 양성과 운영비 마련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선진스포츠시스템의 모델로 삼고 있는 독일은 패전으로 인한 사기저하와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국가재정의 위기가 되어 전국에 체육시설을 공급하고 이를 스포츠클럽이 운영하도록 시작한 것에서 스포츠클럽의 정착을 가져왔다.
우리나라는 스포츠클럽 하고 싶으면 스포츠시설 알아서 위탁받아오고, 응모하라는 식이어서 시작부터 정책을 거꾸로 펼치고 있다. 그냥 지역체육회에 주고 지역 스포츠시설을 중심으로 스포츠동호인들을 통합 운영하면 되지 않을까?
건강과 의료비 지출 해결, 지역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는 독일의 스포츠클럽은 시설운영비, 조세감면, 무상임대 등을 통해 클럽 수 11만 개, 회원 수는 2750만 명이며, 지역 사회문제 해결의 역할을 위해 스포츠클럽을 육성하여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일본은 클럽 수는 3600개, 회원 수는 2006만 명에 달한다.
한국형 스포츠클럽의 정답을 우리는 지역체육회에서 찾아야 한다. 체육회는 이미 중·고등학교와 생활체육 현장에 전문체육지도자와 생활체육지도자를 파견하여 국민의 스포츠 활동을 돕는 것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체육회는 오는 6월로 법적 법인화가 된다. 체육회는 전문체육지도자와 생활체육지도자 모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명실공히 대한민국 체육 저변과 전문선수 양성의 최선봉에서 임무를 수행해 오고 있다.
이렇게 최적의 체육 단체가 있는데 굳이 사업전개를 어렵게 할 필요가 있을까? 공모조건이 불합리하여 까다롭고, 목표 성공 가능성도 낮고, 지속 가능성도 적은 신규 스포츠클럽을 양성할 것이 아니라 그 예산을 지역체육회에 주고 스스로 공모하고 육성하게 해야 한다.
지역마다 체육시설 여건이 다르고 환경이 다른데 이것까지 대한체육회에서 관여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교육부가 전문체육선수 양성을 등한시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개 스포츠클럽이 활성화된다고 학교와 지역 스포츠클럽을 연계하여 공공스포츠클럽이 전문선수를 양성해 낼 것이라는 기대는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임을 알아야 한다.
교육부는 전문체육 지원을 등한시하고 있다. 전문체육지도자 급여도 체육회가 주고 있고(국회 지적 사항), 체육지도자 근무여건, 체육 지도 환경 개선에도 관심이 없다.
손흥민 선수가 주급 2억을 받고 있다, 무슨 직업인을 양성해야 주급 2억을 받는 사람을 만들 수 있겠나. 박지성, 박찬호, 박세리가 천억을 벌었다는데 무슨 교육을 해야 대한민국 사람을 이렇게 만들 수 있는지 교육부는 진정 고민해 주기 바란다.
요즘 어려워진 국내 환경을 뒤로하고 조기 스포츠 유학이 붐을 이루며 스포츠유망주들이 대한민국을 떠나고 있다. 이것이 그들의 선택일지라도 왜 교육부는 최적의 세계적인 운동선수 양성 시스템을 만들지 않나? 체육 교육도 교육부의 업무임을 상기하기 바란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노인 의료비 증가를 제발 심각하게 인식하고 건강보험료를 올리려고만 하지 말고 체육시설 설치 예산을 지원하기 바란다. 노인들의 스포츠 참여율이 높아지면 의료비 지출이 대폭 줄게 된다. 보건복지부가 노인 의료비를 줄이기 위한 해결책은 제시하지는 않고 의료비 증대로 의료계의 먹거리를 늘리는 중이라고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