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올해부터 역전 현상이 본격화된 상황에서 각 기관이 돌리는 수레바퀴를 하나로 결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우선 대학은 특성화 등을 통한 인력 양성을 해나가야 한다.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를 확립해 취업 등에 강점을 내세울 수 있는 요소를 마련해 지역 인재를 키워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지역 인재양성 이후엔 대전시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역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라도, 이들이 대전에 머물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 환경 조성을 마련해야 한다. 즉, 좋은 기업과 일자리가 마련돼야 한다는 얘기다.
대전교육청의 경우엔 입시 경쟁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직업군을 확립시켜줘야 한다. 대학 간의 연계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직업의식을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문현 충남대 교수는 "대학을 가는 큰 목적 차원에서 보면, 학생은 인재를 키우고, 지자체는 인재를 지역사회의 일꾼으로 키워야 한다. 교육청은 대학 간의 연계교육을 통한 지역 학생들의 직업의식을 확립할 수 있는 역할이 필요하다"며 "각자 역할이 아닌 하나의 역할이 이뤄지도록 연결이 되는 교육을 해야 한다. 다 한마음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지역 내 시너지 효과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불가피한 상황인 만큼 지역의 사업을 대학과 연계하는 등 지속가능한 성장을 함께 도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호택 배재대 교수는 "대학이 힘들어지는 상황인데, 이제는 대학이 가지고 있는 인프라를 활용해서 이를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며 "일례로 공무원 교육도 대학에 위탁해서 하는 방식이나 사회 재교육 등 대학이 함께 연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가 역전 현상의 부정적 상황의 시발점으로 불리는 만큼, 더 심각해지기 전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2021학년도 수능 응시자는 43만여 명으로, 대학 입학정원인 49만여 명보다 크게 모자라는 등 올해 들어서면서 심화 현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또 대학의 위기가 지역 사회의 인구 감소, 경제적 상황까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각 기관에선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올해부터 시작돼 상황은 점점 더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마음으로 논의해 방안을 마련할 할 필요성이 있다"며 "대학의 노력과 시청의 역할, 교육청의 지원을 통해 우리 학생들이 지역에서 살면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