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 자체적으로 대책을 마련해 왔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산학협력 강화, 4차 산업 대비한 학사구조 개편 등은 기존 되풀이되던 대책인 만큼 대학 위기를 제대로 극복할 수 있는 보다 혁신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벚꽃 엔딩'을 거스르는 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특성화된 경쟁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해외 사례로는 '미네르바 스쿨', '올린 공대'가 대표적인 모델이다. 미네르바 스쿨은 캠퍼스라는 기본적인 교육방식의 인식을 깬 대학으로 손꼽힌다. 이 대학은 캠퍼스가 없고 기숙사만 있으며 학생들은 자신의 기숙사 방에서 온라인으로 접속해 '포럼(Forum)' 이라고 불리는 미네르바에서 개발한 능동적 학습과 평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수업을 받는다.
프로젝트 기반 교수법을 통해 공학교육의 혁신을 이룬 미국의 올린 공대 역시 '대학 변신'의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론부터 가르치는 기존의 공대 교육에서 탈피해 실험 위주 현장 중심 교육을 펼치는 새로운 혁신 교육모델인 셈이다.
지역 대학들 역시 존립이 위태로운 현실을 인식하고, 저마다 차별화된 대학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교육혁신을 꾀하고 있다
학과나 전공 단위별로 특성화를 설정해 경쟁력을 갖추려는 것이다.
우송대의 경우 미래의 첨단철도산업을 이끌어갈 지능형 철도인력을 양성을 위해 철도물류대학 철도소프트웨어 전공을 신설한 가운데 12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4차 산업 혁명 시대 산업 수요 변화에 따라 인력 수요 예측이 곤란해지는 상황에서 대학의 현장 중심 특성화 교육으로 경쟁력을 얻고 있다.
나아가 대학경영은 외연적 확대 위주에서 벗어나 내실화와 대학 간 연계 협력을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시대적 변화와 함께 학과 중심 개념에서 탈피해 대학 운영·방법 등의 다면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부산지역에서는 경성대와 동서대가 강점과 경쟁력을 가지는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시스템을 구축으로 교수진, 캠퍼스 시설, 강좌를 모두 공유하는 등 대학교육 혁신에 나서기도 했다.
이처럼 공유대학, 연합대학 등을 모색하고 대학 간 상호보완적 관계 형성은 물론 분야 간 강점을 살린 특성화가 필요하다는 게 대학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김문홍 우송대 입학처장은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수도권대학으로의 쏠림현상이 점차 심해지면서 지역대들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들은 전통적으로 키워온 경쟁력 있는 학과를 유지하면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등 COVID-19 이후 사회변화와 흐름에 맞는 융합교육과정과 온라인을 결합한 다양한 교육방식을 강구해야 한다"며 "예를 들면 해외 대학들과의 글로벌 교육협력 및 인턴십 등 학생들의 취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특성화된 학과육성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