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요임금은 희씨와 화씨에게 하늘의 태양, 달, 별을 관찰별 역서(曆書)로 만들어서 사람들에게 농사철을 알려 줬다. 또한 1년은 366일인데 윤달을 써서 사시(四時)를 정해야만 한 해를 이룬다는 기삼백(朞三百)에 대한 기록이 있다. 순임금이 천자의 지위에 올라서는 천체 관측기인 선기옥형을 만들고 달력을 제작하여 농사의 때를 잃지 않게 했다. 역사적으로 보면 고대에는 시대마다 정월이 달랐다. 하(夏) 때는 현재 음력과 같은 달력을 사용했으므로 1월이 정월이었다. 그러나 은(殷)나라 때는 음력 12월을 정월로 삼았으며 주(周)나라 때는 음력 11월을 정월로 삼았다. 이는 하늘이 자시(子時)에 열리고 땅은 축시(丑時)에 열렸으며 사람은 인시(寅時)에 태어났다는 고대의 우주관 때문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고학적 유물로 볼 때 고조선 시기에 천문을 관측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순임금이 동이족이며, 하(夏)와 은(殷)은 동이족이 세운 나라이므로 우리나라도 고대부터 음력으로 사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삼국사기에 음력을 사용한 기록이 있으니 삼국시대에 설날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이로 보면 동양의 설날은 수 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설날에 행하는 풍습은 시대마다 달라져 왔다. 현재 없어진 설날 풍습 중 하나가 술을 마시는 일이다. 설날에 마시는 술을 도소주(屠蘇酒)라 하는데 이는 악귀의 기운을 없애고 사람의 정신을 소생하게 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중기의 문인 심수경(沈守慶)의 견한잡록(遣閑雜錄)을 보면 "옛날에는 새해 아침에 젊은이가 먼저 마시고 노인이 뒤에 마시는데 지금 풍속은 설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사람을 만나면 그 이름을 부르고 그 사람이 대답하면 '나의 허술한 것을 사가라' 한다. 이는 자기의 병을 팔아서 재앙을 면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했다.
설날에 서로 인사하는 것을 세배라고 한다. 임진왜란 때 정응태의 무고로 이항복과 이정귀, 황여일이 변무(辨誣)하러 명나라에 갈 때였다. 압록강을 건너서 이정귀가 "연조(燕趙) 지방에는 미녀가 많다는데 이번 길에 만나 볼 수 있으려나?" 했다. 오후에 탑소(塔所)에서 쉬는데, 마침 세시(歲時)인지라 20여 세쯤 된 주가(主家)의 딸이 세배하러 왔다. 녹색 명주 치마에 홍색 비단 저고리를 입었으며 수운리(繡雲履)를 신고 머리에는 꽃을 꽂고서 적표마(赤表馬)를 타고 문에 들어섰다. 이정귀는 깜짝 놀라 일어나서 그녀를 곁눈질로 보았다. 마침 황여일은 변소에 갔으므로, 이정귀는 빨리 와서 보라고 급히 불렀다. 황여일이 왔을 때는 그녀가 이미 당(堂)에 들어가서 문을 닫아버린 후였다. 그러자 이정귀는 "가는 곳마다 똥만 싸고 있으니, 무슨 일을 할 수가 있나"라고 했다. 타국에서 단장하고 세배하러 다닌 어린 여인의 모습이 얼마나 아름답게 보였겠는가. 이 광경을 두고 이항복은 참으로 객지에서 한바탕 박장대소할 만하다고 적었다.
코로나로 인해 올해의 설은 전에 없던 풍습이 생겼다. 사실 설날은 아이들에게는 수금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내외가의 어른들을 찾아뵙고 세배하면서 세뱃돈을 받을 기회를 잃었으니 얼마나 안타깝겠는가. 대신 세배하는 모습을 동영상에 담아 어른에게 보여드려서 손자를 보고 싶은 마음을 해소해드리고 세뱃돈은 통장으로 입금받는 것이다. 반면 시댁에 가지 않아도 될 며느리는 시댁의 부담에서 해방될 수 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다만 이를 계기로 친척 간에 왕래도 끊기고 차례도 동영상을 틀어놓고 지내는 것이 일반화될까 걱정스럽긴 하다. 안 지내는 것보다 낫다지만 세배와 차례는 인간의 정이며 정성인데….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