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은 흔히 집 주변에서도 방사선을 내는 기체 물질로, 우리나라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대전시가 라돈 저감 대책 마련을 위해 최근 발표한 ‘라돈관리계획' 최종 보고서를 보면, 2018년 대전의 실내 라돈 평균은 110.1 Bq/㎥로 17개 시· 도중 가장 높았다. 광주는 58.3Bq/㎥, 대구 61.5Bq/㎥, 부산 51.4Bq/㎥로, 대전은 다른 광역시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셈이다.
대전의 연도별 라돈 데이터를 비교해보면, 2011∼2012년의 대전의 라돈 평균 농도는 161.9 Bq/㎥, 2013∼2014년에는 107.3 Bq/㎥로 나타났다. 이어 2015∼2016년에는 111.8 Bq/㎥, 2017∼2018년 110.1 Bq/㎥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하지만 매년 권고 기준 초과율은 10% 이상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전지역이 라돈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점으로는 건축구조, 주택 형태 등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의 단독 주택에서 라돈 수치는 매년 평균 138.4Bq/㎥로 가장 높은 라돈 농도를 보였고, 아파트에서는 87.8 Bq/㎥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라돈 농도 수준이 가장 높자, 대전시는 지역 특성에 맞는 라돈관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생활 속 환경 유해인자인 라돈 누출에 대비해 예방하는 관리 체계를 수립해 시민 건강을 보호하겠다는 취지에서다.
특히 라돈관리의 문제점으로는 최근 지역 내 건축 천연자재 사용 증가 추세 등으로 실내 라돈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돼 지역 시민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어 다른 오염물질과는 다르게 측정조건에 따른 방출량 변동이 크고,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양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 측정·관리기준도 없다.
또 기존 저감·관리대책은 토양 영향에 집중돼 공동주택의 경우 환기밖에 대책이 없어 시 차원의 구체적인 대안이 시급해 보인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에서는 대전이 유독 '라돈'에 취약한 점을 보였는데, 그동안 시가 특별히 '라돈'을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가 없었고, 대책이나 방안도 전혀 없었다"며 "앞으로 아파트 재건축 등 상황이 더 악화할 경우를 대비해 보고서를 토대로 장기적 관점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