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이상화 (주)멀틱스 콘텐츠사업부장, 조영이 수어통역사, 김민정 대전시 정보화담당 주무관을 시청에 설치된 누리뷰 앞에서 만났다. |
대전시가 민원안내시스템 '누리뷰'를 개발하고 본격 서비스에 들어갔다. 누리뷰는 수어를 AI(인공지능)에 학습시켜 민원안내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것으로, 세계 최초 개발이다. 대전시는 현재 민원안내 서비스에서 향후 민원 처리까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하고 확장할 계획이다.
누리뷰의 첫 시작은 장애인들을 위한 영상문자(수어) 영상서비스를 요청하는 민원에서 출발했다. 장애인들이 시·구청 홈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수어로 된 영상서비스가 없어 불편하다는 지적이 높았고, 2019년 전산직 연구과제로 준비하고 있었던 청각장애인 시스템과 연계해 누리뷰로 발전했다.
누리뷰 개발의 주역 김민정 대전시 정보화담당관 주무관, 이상화 (주)멀틱스 콘텐츠사업부장, 조영이 수어통역사다.
김민정 주무관은 "누리뷰는 행안부 주관의 첨단정보기술활용 공공서비스 지원사업으로 선정돼 추진했다. 인공지능 첨단기술을 공공분야에 도입해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해 것이 목적이다. 준비 기간이 5개월로 짧았는데, 멀틱스의 기술력이 더해지면서 완성형의 서비스가 이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상화 부장은 "멀틱스는 2018년 수어통번역시스템 DB를 자체적인 기술로 구축해둔 상태였다. AI로 인식되는 사람의 행동은 그동안 센서 장갑을 통해 입력하다 보니 한계가 있었는데, 누리뷰는 알지비 카메라를 이용해 기술업을 했다. 신체에 가려지는 사각지대 행동을 모두 읽을 수 있어 데이터값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응답할 수 있는 기술력"이라고 했다.
현재 누리뷰는 900단어를 학습했고, 민원 사례가 많아질수록 자동학습한다.
누리뷰 개발이 속도를 내자 정부의 관심도 높아졌다. 지난해 7월 행정안전부를 통해 국무회의에서 보고했고, 그해 11월에는 청와대 비서관이 직접 시현에 참여하며 혁신조달 상품 추진도 제안했다.
조영이 수어통역사가 수어로 누리뷰를 시현해 보고 있다. |
누리뷰는 실질적인 장애인의 행정편의를 위해 도입된 만큼, 장애인들의 현실적인 조언도 방향성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조영이 수어통역사는 "농인 시현을 할 때 시청보다는 구청과 동사무소에 있어 주면 좋겠다고 했다. 일상생활에서 수어가 필요한데, 통역사와 날마다 함께할 수 없다 보니 이런 서비스 도입에 고맙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이상화 부장은 "장애인들이 직접 참여한 시민디자인의 효과가 컸다. 시각장애인이 누리뷰 작동하는 걸 30분 넘게 지켜본 적이 있는데, 사실 결과까지 가는 데 꽤 힘이 들었다. 나중에 어때요, 이런 서비스가 필요할까요 물었더니, 그 농인이 1명이 쓰더라도 꼭 필요하다고 말하더라. 아 이거구나 싶었다"고 했다.
누리뷰는 지난 3일부터 시청에 4대, 대전역과 시청역에 각각 1대씩 설치했다. 민원 안내는 결국 테스트베드이고, 민원 업무가 많은 동사무소와 은행, 병원 등으로 연계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가 향후 과제다.
김민정 주무관은 "AI 기계는 사용의 시점이 중요하다. 음성 체험을 하면 마이크가 꺼지거나 인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로딩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 장애인들은 마냥 기다리기만 하는데, 곧 '띵똥'이라는 포인트를 넣어 말하는 타이밍을 맞추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누리뷰는 세계로도 이름을 알렸다. 2022 UCLG 총회를 준비하고 있는 대전시는 UCLG 소식지에 누리뷰 소식을 업데이트하며 대한민국, 과학도시 대전의 기술력을 선보였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