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국회 국정감사 때 적자 진료가 화두가 되면서 2010년 운영을 마치고 2011년 1월부터 기약 없는 휴원에 들어갔던 대전 복십자의원이다.
'충청에 하나뿐인 결핵 전문병원', '아픈 몸을 이끌고 부산과 대구 원정진료 불가피' 등 복십자의원이 문을 닫은 2011년 1월 본보는 결핵에 대한 전문병원 존속 필요성을 이같이 역설했다.
결핵은 많은 이들의 기억에서 잊혔지만 사라진 질병은 아니어서 부산의 한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 35명이 잠복결핵 집단 양성 판정을 받은 게 지난해 11월이었다.
부랴부랴 대전과 충남에서도 신생아실과 어린이집 종사자 그리고 산후조리원 직원 등에 대한 전수조사에서도 결핵 사례가 발견됐다.
결핵 신규 확진자는 2019년도 기준 대전 515명, 충남 1122명, 세종 71명, 충북 677명으로 2009년 대전에서 한 해에 1000여 명씩 신규발생하던 때보다 감소한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에 결핵 발생률이 여전히 가장 높고 결핵 사망률은 2위를 기록 중이다.
2019년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서도 1610명이 결핵으로 사망한 것 역시 현실이다.
같은 시기 대전에서는 35명, 충남에서 74명, 충북에서 54명이 각각 결핵 사망자로 집계됐고, 인구 10만 명당 대전 2.4명, 충남 3.5명, 충북 3.4명, 세종 1.8명이 결핵으로 생명에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방역에 의료인력과 장비가 집중되면서 같은 공기매개 감염병인 결핵 예방은 정책적 관심에서 멀어진 느낌이다.
전체 결핵사망자의 65세 이상 노인이 83%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올해부터 의료급여 수급권자 및 재가와상 등 어르신을 찾아가 결핵검진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실행 여부도 불투명해 보인다.
증상이 심한 결핵환자는 음압병상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야 하나 병상 하나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선별진료소가 차려진 보건소에 결핵환자가 찾아간다는 것은 호흡기 감염증에 취약한 이들에게 위험 부담이 너무 크다.
대전에 복십자의원이 다시 개원한 것은 난치성 호흡기 감염병을 가벼이 여긴 지난 2010년 보건당국의 휴원 결정에 대한 반성이오, 코로나19 시대에 소홀할 수 없는 결핵환자 보호의 최소한 조치일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