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색시가 시집을 간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하루는 밥을 짓다 말고 부엌에서 울고 있었습니다.
이 광경을 본 남편이 이유를 물으니 밥을 태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야기를 듣고 있던 남편은 오늘은 바빠서 물을 조금밖에 길어오지 못했더니 물이 부족해서 밥이 탔다며 이것은 모두 자기 잘못이라며 부인을 위로하였습니다
이 말을 들은 부인은 울음을 그치기는 커녕 감격하여 더 눈물을 쏟았습니다.
부엌 앞을 지나가던 시아버지가 이 광경을 보고 이유를 물었습니다.
사정을 들은 시아버지는 내가 늙어서 근력이 떨어져서 장작을 잘게 패지 못했기 때문에 화력이 너무 세서 밥이 탔다고 아들과 며느리를 위로 했습니다.
그때 이 작은 소동을 들은 시어머니가 와서 이제 내가 늙어서 밥 냄새도 못 맡아서 밥 내려놓을 때를 알려주지 못했으니 자기 잘못이라고 며느리를 감싸 주었습니다.
옛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이라고 말했습니다.
즉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된다면 것입니다.
그런데 이 이야기를 잘 살펴보면 모두가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남을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잘못을 스스로 반성하고 또 자기가 잘못을 뒤집어 쓰면서까지 남을 위로하려고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서로를 생각하는 가운데서 화목이 찾아오는 것이 아닐는지요.
이제 며칠잇으면 민속 고유명절인 설날(구정) 명절이 돌아옵니다.
설날에 '설'이란 말은 '사린다', '사간다'라는 옛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삼가다" 또는 "조심하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설날은 1년 내내 탈없이 잘 지낼 수 있도록 행동을 조심하고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깊은 명절인 것입니다.
설을 언제부터 세기 시작했는지 정학한 기록은 없지만 중국의 사서에서 "신라때 정월 초하루에는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1월신을 배려했다" 고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역사가 오래된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구한말인 1895년 양력이 채택되면서 신정과 구별되는 구정으로 빛이 바래기 시작했고, 일제시대에는 설을 쇠는 사람들이 핍박받는 사태까지 이르렀습니다.
그 후 1985년에 설날을 "민속의 날"로 지정해 설의 명칭을 복원했고, 사흘간 쉬기로 결정돼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입니다.
설날은 음력 정월 초하루 날인데 농경의례와 민간신앙을 배경으로 한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입니다.
새해를 시작하는 첫날인 만큼 이 날을 아무 탈 없이 지내야 일년 365일이 평안하다고 하여 지극히 조심하면서 가만히 들어앉는 날이란 뜻에서 '설날'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합니다.
백향 / 김강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