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M 비인가 시설은 3주 동안 폐쇄된다. 사진=이성희 기자 |
다중 이용시설이고,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등 방역 수칙이 준수되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지만, 감염 경로가 불확실해질 경우 주변 지역의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해교 대전시 보건복지국장은 "신입생이나 기존 학생들이 입소할 때 시설 측의 진술로는 열 체크를 했다고 한다. 초기 증상이 있었을 때 제대로 검사를 했더라면 감염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겠지만, 이렇게 일시적으로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 누가 최초 감염자인지 가려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만 가능성은 두 가지로 좁혀진다.
무증상자가 입소 후 집단생활을 하면서 확산됐을 경우와 기숙형이 아닌 출퇴근을 하는 교직원을 통한 외부 감염 여부다.
이 시설은 총 158명 가운데 교직원 5명을 제외하고는 기숙형 생활을 해왔다. 반별로 수업을 진행해도 학생들이 철저히 분리되지 않았고, 모였다 흩어지기를 반복했다. 또 마스크 착용을 준수하지 않고, 식당 내 칸막이도 없는 등 기본적 거리두기를 지키지 않았다는 점도 확산을 키운 원인으로 꼽힌다.
초기 증상을 무시한 시설 측의 안일한 대응도 논란이 되고 있다. 경남지역에서 입소한 학생이 12일 기침과 가래, 두통이 있었고, 16일부터는 증상이 있었던 학생 기록도 있다. 다만 시설 측에서 이를 선제 대응하지 않으며 사태를 키웠다는 분석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