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늦은 시간 걸려온 한 통의 전화 너머 상대방은 할 말이 많은 듯했다. 꽤 오랜 시간 대화를 나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를 비롯해 국가적인 사안에 대해 그의 생각은 분명했다.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그가 맨 먼저 꺼냈던 말은 KAIST AI대학원 서울 이전에 대한 것이었다. KAIST는 지난해 12월 서울에 있는 다양한 기관·기업과의 시너지를 위해 서울행을 정했다. 그는 이러한 이유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KAIST가 진정 다양한 주체와 협업하고 발전하기 위해선 서울이 아닌 글로벌로 뻗어나갔어야 공감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분야 특성상 꼭 한데 몰려 있어도 되지 않고 국내에선 반나절이면 어디든 오갈 수 있는 시대다.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라면 실리콘밸리로 향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KAIST AI대학원 이전 필요성에 동하지 못하는 목소리는 이전에도 많았다. 학내 교수조차도 대학원 이전은 실은 필요가 없으며 서울에서 출퇴근하는 일부 교수의 편의 외엔 장점이 없다고 학교의 결정을 비판했다. 세계 유수 대학의 AI 관련 연구는 도시가 아닌 로컬에서 이뤄진다며 타파하지 못한 서울 중심 사고에 대해 날을 세웠다. 국내 AI 발전을 위해 야심차게 설립한 AI 대학원이다. 이 같은 주제로 논란에 중심에 서게 됐지만 학교 측은 별다른 말이 없다.
#.2 과학기술계 구성원은 다양한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말하고 있다. 최근 체감하는 건 특히 기관장 선임과 관련된 것들이다. 가령 '우리가 원하는 기관장은 이런 철학을 가진 인물이며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식이다. 지극히 옳은 말을 재차 소리 높여 강조하는 이유를 생각하면 역설적이게도 그동안의 적극적인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란 결론에 다다른다. 이미 결정된 기관장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할 정도인데 그동안 구성원의 이야기가 어딘가에 제대로 가 닿기는 했는지 의문이 드는 지점이다. 오랜 시간 과기계 내부가 지적한 문제들이 해결되기 위해선 현장의 소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기계는 계속해 목소리를 내고 있고 앞으로도 낼 것이다. 분명한 청자가 정해져 있는 그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도달하길 바란다. 임효인 경제사회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