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세화 디지털룸 1팀 기자 |
'버버리'는 과거 럭셔리를 추구하는 명품 산업의 특성상 폐쇄적이었다. 그러다 2003년 안젤라 아렌츠가 CEO를 맡게 되면서 큰 변화를 맞이한다. 우선, 새로운 고객이자 미래 소비층인 밀레니얼 세대에 주목했다. 'Fully Digital Transformation' 전략을 내세워 생산부터 조직, 프로세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까지 기업 전반에 일대 혁신을 끌어냈다. 전 세계에 흩어져 있던 TI 조직도 통합해 물류부터 판매 데이터까지 실시간 관리 체제로 전환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패션쇼의 변화다. 밀레니얼 세대들의 감성에 맞춰 당시 론칭한 아이폰5와 아이폰5S를 통해 쇼를 생중계했다. 더불어 애플 뮤직에 버버리 채널을 오픈해 쇼에 사용될 음원을 추천받고 판로까지 확장했다.
'루이비통' 역시 공격적인 경영 행보로 유명하다. 2017년 스트릿 브랜드인 슈프림과 협업해 큰 관심을 끌었다. 상류층의 전유물로 인식됐던 브랜드가 특정 동네 사람들한테만 사랑받는 서민 브랜드에 손을 내민 거다. 파격은 계속됐다. 게임 브랜드인 '리그 오브 레전드'와도 콜라보했다. 게임 내 여성 캐릭터의 옷에 루이비통 모노그램 패턴을 적용하고, 캐릭터 무기에 로고를 새겨 넣었다. 또 온라인에 그치지 않고 제품생산량을 늘려 오프라인까지 판로를 넓혔다.
루이비통과 버버리는 고유의 정통성에서 과감히 탈피해 혁신했다. 혁신(革新)은 '살가죽을 벗겨낸다'라는 뜻을 품고 있다. 수많은 조직에서 시무식 때마다 습관처럼 부르짖는 상투적인 용어로만 인식됐지만, 사실 함부로 써서는 안 되는 용어다. 내 살갗을 벗겨내는 고통에 버금갈 만큼의 노력을 기울이거나 해보지 않은 일을 통해 바꾸거나 고쳐서 새롭게 했을 때 혁신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신축년에 접어들면서 사내 조직이 개편됐다. 기존의 미디어부와 편집부, 몇 개의 출입처가 합쳐져 '디지털룸'으로 재구성됐다. 지방언론에서는 유례없는 파행 행보이기에 관심과 기대, 우려가 뒤섞여있다. 가 보지 않은 길을 가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지만, 새로운 환경을 마주했을 때 등장할 또 다른 자아를 발견한다는 생각에 설레기도 한다. 모든 게 새로워진 이 상황을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하며, 과거 코미디프로그램을 보던 세대로서 '유머1번지'에 나왔던 유행어가 생각난다. "잘 돼야 될 텐데…."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