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띠 해이다 보니 소 이야기가 많이 인구에 회자된다. '우생마사(牛生馬死)'도 그중 하나이다. 소와 말의 헤엄 실력을 단순비교하면, 민첩한 말이 단연 앞설 것으로 보인다. 홍수를 만나면 결과가 달라진다. 말은 자신을 과신하고 물살에 거슬러 싸우다 지쳐 죽는다. 우둔한 소는 물살에 편승해 흘러가며 서서히 강가로 나와 살게 된다. 거스르지 말고 순리에 따르라는 말일 게다. 들여다보면 적재적소에 활용하라는 뜻이기도 하다. 어느 것이 더 유익한 반려동물이라 산정하기 어렵지 않은가? 항구 불변은 없다. 무소불위의 강자도 존재하지 않는다. 지속되지도 않는다.
"목동이 나그네 만나 고개 숙이자 / 산에서 딴 과일 품 안에서 떨어지네 / 종일 소먹이고 돌아가는 데 / 앞 개울 비바람 거세네(牧童見客拜 山果懷中落 盡日驅牛歸 前溪風雨惡)"
목동의 수고로움이 헛되이 될까 안타까웠나, 생명의 위협이 더 두려웠을까, 화제는 목동의 수고로움으로 썼다. 그림은 거센 물살 가르며 물 건너는 황소를 그렸다. 소 풀 뜯기는 일은 목동의 일상이다. 일상이 아닌 비바람이 작가를 사유케 한다. 비바람 극복이 인생 아닌가? 글과 그림이 상호 작용하여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정치인이 많이 쓰는 말 중 하나가 '국민의 뜻' 아닐까 한다. 들어보기나 했는지, 물어보기나 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뜯어보면 국민 뜻과 전혀 관계가 없다. 그야말로 내 논에 물대기, 아전인수(我田引水)식 세상 보기다. 때로는 침소봉대(針小棒大)나 곡학아세(曲學阿世)도 서슴지 않는다. 겸연쩍은 일은 누가 알까 모르게 슬그머니 한다. 정작 국민 합심과 노력으로 이루어진 일은 자기 공이라 내세운다.
듣고 싶은 이야기만 들으면서 받드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은 아닐까? 극렬 소수 의견이 당장은 먼저일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잘 훈련된 조직이 움직이면 우선은 이길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투명한 사회로 갈수록 암흑의 라이프싸이클은 줄어든다. 팬덤 정치가 지속될 수 없는 이유이다.
정치인 스스로, 서로 지적하는 대화법이 '유체이탈 화법'이다. 처음엔 용어조차 이해하지 못했다. 영혼이 육체에서 벗어나 혼이 담기지 않은 말이려니 생각했다. 자신과 관련 있는 일을 남 이야기하듯 말하거나,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뉘우치기는커녕, 자화자찬으로 일관하는 것을 일컫는다. 책임을 회피한다. 현실 또는 상식에 어긋나는 달나라 이야기로 일관한다. 주체가 없으니 '구경꾼 화법'이라고도 한다. 3자 관점으로 말하니 의지가 있기나 한 것인지 의문이요, 애매모호 하기 이를 데 없다.
정치 대립의 또 하나 원인은 조급함이다. 앞당기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도 있으리라. 그렇다고 우물 앞에서 숭늉 달라 해서야 되겠는가? 서로 잘못했다고 지적하는 사안 대부분 과정을 무시한 소치에서 나온다. 기지도 못하는 아이에게 뛰라 하는 격이다. 일에는 과정이 필요하다. 더 욕심내자면, 철저히 과정을 밟아야 한다. 물은 구덩이를 채운 후에 앞으로 나아간다. 초지일관 항상 낮은 곳으로 임 한다. 바다에 이르는 지혜이다.
정당의 정체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을 정강 정책으로 삼든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의 존립 이유이다. 정당이 왜 있어야 하는가? 바로 인류 진화와 국리민복이다. 정권획득도 그를 실천하기 위한 것 아닌가? 어떠한 이념이나 목적도 그 위에 있을 수 없다. 알면서, 필부와 다르지 않게 눈앞의 이익만 챙긴다. 당리당략만 쫓는 것이 문제이다. 세상의 변화를 가장 늦게 깨닫는 것이 정치라는 생각이다. 가장 둔감하다. 십 년이면 강산이 변하는 정도가 아니다. 천지개벽이 이루어지는 시대다. 일거수일투족이 돌아서면 만천하에 드러난다. 잠시도 속일 수 없다. 생각뿐 아니라 행동도 극 진실함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더 큰 문제는 그로 인한 정치불신이다. 불신은 정치가 설 자리를 없앤다. 아울러 정권을 잃는다. 불신을 막는 길은 당연히 진실밖에 없다. 통제하면 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반비례하여 더욱 커지는 것이 핍박의 속성이다. 커질수록 앞날은 뻔하지 않은가? 진솔함으로 정치회복에 총력을 경주하기 바란다. 그것이 어려우면 언론이라도 반듯하게 하라. 건강한 여론을 형성할 때 그나마 불신이 줄어듦을 알았으면 한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