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계열사인 ‘코레일네트웍스’(대표 인태명) 노동조합이 최장기 파업 기록을 기록하고 있다.
2016년 74일간의 파업이 가장 길었는데, 사측의 약속 이행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서 또다시 기록을 갈아치웠다.
전국철도노동조합 코레일네트웍스지부가 파업을 시작한 건 지난해 11월 9일이었다. 당시 철도고객센터지부 조합원들까지 참여한 총파업은 올해 1월 15일까지 이어졌다.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는 자회사지부 파업만으로는 정부 정책을 바꿔내기 힘든 것을 확인했다며 총파업에서 간부 파업으로 전환한 상태다.
파업에 돌입한 건 시중노임단가 100% 적용과 고용보장, 해고자 원직 복직 등의 그동안의 노사합의를 준수할 것을 요구했지만,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다.
코레일네트웍스 노조는 시중노임단가 100% 적용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공공기관 인상률 4.3% 보다 후퇴한 방안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자회사의 무기계약직과 기간제 계약직은 몇 십 년을 일해도 최저 임금 수준이라고도 덧붙였다.
2019년 단체교섭 쟁점 사항이던 정년연장도 1년 연장한다는 합의를 진행했으나,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공공기관으로서 고용노동부 행정지도도 무시하는 행태라고 했다.
특히 지난해 코로나19로 심각한 경제 위기와 그에 따른 파장으로 서민경제까지 큰 타격을 받은 상황에서 협상이 지연되면서 노조원 상당수가 경제적 어려움을 처하기도 했다. 최장기 파업을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사측은 노조와의 협상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서재유 코레일네트웍스지부장은 "시중노임단가 100% 적용, 고용보장 등의 합의가 지켜지지 않은 게 4년째"라며 "225명의 해고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들이 복직할 수 있을 때까지 멈출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사측이 어떠한 형태로든 약속을 이행할 수 있을 때까지 쟁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노동자가 최저임금을 받고, 고용안정 또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데, 정부조차 바로잡지 않고 있다"며 "2018년 철도공사 노사와 전문가 협의체에서 합의했던 내용을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코레일네트웍스 관계자는 "현재 현장 파업은 일부 직원을 제외하고 철회해 대부분 직원은 업무를 복귀한 상황"이라며 "아직은 노조와 입장 차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