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문 세종본부 차장 |
대전과 세종도 마찬가지다. 대전은 인구 150만의 광역시다. 경부선과 대덕특구, 정부청사 등을 통해 교통의 요충지, 국가 과학연구의 중추도시, 행정기능 도시 성장하면서 중부권 대표도시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최근 세종시 출범과 대기업 등 도시 성장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세종시는 현재 35만 인구의 특별시다. 행정중심도시로 급속히 성장해 나가고 있지만, 국회와 청와대 이전 등 행정수도로 거듭나야 하고, 그를 위한 도시 기반을 갖출 필요가 있다. 특히 수도권 인구 유입을 통한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모멘텀이 필요한 상황이다.
자기 존립을 위해 협력과 상생을 모색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신축년 연초 기자브리핑에서 "세종이 완전한 행정수도가 되기 위해서는 대전·세종이 통합돼야 가능하다"며 '대전·세종 통합'을 재차 강조했다. 대전·세종간 교통망 확충, 경제공동체, 조직 통합 등을 거론하며 궁극적으로는 대전이 중부권 메가폴리스의 거점이자 중심도시로 국가균형발전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연말에는 충청권 4개 시·도지사들이 모여 메가시티구축을 위한 협약서에도 서명했고, 이를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했다. 대전도시철도 1호선을 세종으로 연결하고, 광역철도망을 구축하는 사업도 합의했다.이춘희 세종시장도 충청권이 뭉치고 공조하는 것에는 동의하고 있다. 인구 550만명의 충청권이 광역경제권, 광역경제공동체를 형성해 경쟁력을 키워야 수도권과 경쟁도 하고 생존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행정수도 완성, 혁신도시 시즌2, 광역교통권 조성 등을 실현하기 위해 충청권이 뭉치고 공조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상생'을 하기 위해선 방법론이 중요하다. 자기 입장보다는 상대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허태정 대전시장이 '대전세종 통합'을 꺼내 들었지만, 공감을 얻지 못했다. 논의 시점에는 이견 차가 있었다. 세종시는 현재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과 행정수도 완성에 총력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행정구역 통합 논의는 적절치 않다는 생각이다. 충남에 대한 배려도 없었다.이춘희 세종시장도 광역철도망 구축에 협력하자는 상황에서 KTX세종역 신설을 재차 꺼내 들면서 대전·충북과 갈등을 부추겼다. 진정한 상생을 위해서는 상대와의 신뢰를 쌓는 게 중요하다. 배려에 진정성이 있고 또 일관성이 있으면 소통이 거듭되면서 관계가 깊어진다.
세종=이상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