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지역에는 '옛 구정리터널' 1곳만 존재하는 셈인데, 역사적 장소인 만큼 국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하는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17일 국가철도공단에 따르면, 대전에 있는 경부선 폐터널은 증약터널과 마달령터널, 구정리터널 등으로 모두 6곳이다. 이 중 구정리, 증약, 마달령 터널을 제외한 나머지 3곳은 없어진 지 오래다.
해당 터널들은 대부분 1900~1910년대에 건설됐으며, 6·25 한국전쟁 시간을 담고 있는 공간이다. 특히 대부분 터널 형태가 말굽 모양의 아치로 일제강점기 시대를 증명하고 있는 역사적 장소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전에 남아 있던 3곳 중 2곳이 매몰로 추정되고 있는 상황으로, 존재하고 있는 터널은 대전역과 세천역 사이에 있는 옛 구정리터널뿐이다. 옛 구정리터널은 세천동에 있으며, 상·하선이 존재한다. 상선은 1919년에, 하선은 1937년에 준공됐으며, 2003년에 폐쇄됐다. 이 중 구정리터널 중 하선은 철도 안전 점검 신기술 체험장으로 조성하기 위해 공사 진행 중이다.
현재는 안전상 문제로 터널은 폐쇄된 상태다. 오래된 터널인 데다 일부 균열, 누수 등으로 인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대전에 호남선 철도 폐터널인 '옛 사진포터널'이 문화공간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지역에 존재하는 폐터널도 시민을 위한 공간이 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 전국적으로 폐터널은 레일바이크, 농산물 저장고, 와인터널, 자전거도로 등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 철도공단 관계자는 "옛 구정리터널의 정확한 지리적 여건 등을 살펴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현재 자료를 살펴보면 구정리터널은 균열, 누수, 진입로 확보 어려움 등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안전 등 여러 가지 문제로 활용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에서 유일하게 존재하는 호남선 철도 폐터널인 '옛 사진포터널'은 지난해부터 문화재청과 협약해 문화재 공간으로 조성한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