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들이 새해를 맞아 '복은 안으로 귀신은 밖으로'라고 외치면서 콩을 뿌리고 있다. |
계절을 알기 위해서 해양 궤도를 바탕으로 1년을 24절기로 구분된 '이십사절기(二十四節?)'에 있어서의 입춘은 새해를 의미하고 전날은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불운을 물리치고 행운을 부르는 행사가 세쯔분이다.
이 날 밤에 가정에서는 마메마키(콩뿌리기)라 하여 집주인이나 그 해의 간지 태생인 사람이 '복은 안으로 귀신은 밖으로'라는 말을 외치며 집안 곳곳에 콩을 뿌린다.
그리고 뿌린 콩은 아무나 자신의 나이만큼 또는 하나 더 먹는다. 가족이 1년 동안 무병 무재해를 바라는 것이다.
콩에서 싹이 트면 좋지 않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볶아서 제물상에 바친 다음에 콩을 뿌린다. 귀신 가면을 쓰고 귀신 역할을 한 사람에게 콩을 던지고 즐기기도 한다.
주로 대두를 사용하지만 땅콩을 뿌리는 지역도 있다. 마메마키는 신사, 절, 학교, 회사에서도 하는 흔히 있는 행사다.
또 집 현관 앞, 건물 입구에서 정어리 대가리를 호랑가시나무 가시에 꽂는다. 사기의 상징인 귀신이 정어리의 비린내와 뾰족한 잎사귀가 싫다는 이유다.
또 근래에는 '에호우마키'라는 김밥을 먹는다. 길함을 뜻하는 숫자로 일곱 가지 재료가 들어간 김밥을 한 사람 한줄씩 먹는다.
좋은 인연이나 복이 끊어지지 않도록 김밥을 먹기 좋게 자르거나 하지 않고 말을 하면 운이 달아난다니 말없이 한 번에 먹는 것이다.
원래는 중국에서 일본의 헤이안 시대에 입춘전날 액막이 의식으로 전해졌다. 당시는 궁중에서 신분이 높은 귀족들이 활과 화살을 들고 귀신으로 분장한 하인을 쫓아다니는 것이었다.
그리고 무로마치 시대에는 5곡식을 뿌리게 되었고 근대에 들어서 서민들에게도 침투하게 되었다
사족이지만 세쯔분에 현관 앞에 정어리 대가리를 바치는 풍습에서 '정어리 대가리도 믿기 나름' 이라는 말이 생겼다. 정어리 대가리처럼 하찮은 것이라도 한번 믿으면 굉장히 귀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후지와라나나꼬 명예기사(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