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0대 공무원 강모 씨는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세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주식 투자에 뛰어들었다. 2000만 원가량 대출받아 투자한 결과, 세 달여 만에 큰 수익률을 거뒀다.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 관련 종목이 급등하면서다. 강 씨는 "몇 년 만에 오는 기회라고 생각해 무리해서 투자한 측면이 있다"며 "다행히 큰 수익이 나긴 했지만 불안한 날들이어서 '빚투'를 추천하지는 않는다"고 전했다.
최근 20·30대 청년층의 주식 투자가 급격히 증가한 가운데 빚을 내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나 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뜻의 '영끌'이 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급여 저축만으로는 노후를 보장하기 어렵고, 규제로 인해 진입장벽이 더 높아진 부동산 대신 주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시장 유동성 강세에 주식 투자 수익이 나고 있는 상황에서 주식 투자를 하지 않는 이들은 상대적 박탈감도 호소하는 등 또 다른 사회 문제로 전락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청년층의 '빚투'는 다양한 지표와 통계를 통해 확인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20·30대 신용대출 잔액은 89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6%p 증가했다. 2분기는 14.8%p, 1분기는 12.3%로 계속 증가세를 보였다. 신용대출은 새해 들어서도 급증하고 있다. 청년층의 신용대출 증가는 주가 추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주가가 오르면서 대출도 증가했다.
늘어나는 주식인구에 상대적으로 주식 투자를 하지 않는 이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고 있기도 하다. 주변의 성공에 나만 소외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뜻하는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 증후군'이다. 포모증후군을 호소하는 상당수는 뒤늦게 불안감에 따른 매수를 뜻하는 '패닉 바잉'을 고민하고 있다.
30대 직장인 송모 씨는 "주변에서 수익이 났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시작해야 하나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유동성이 강한 시장에서 언제 증시가 빠질지 모른다며 '빚투'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강신철 한남대 글로벌IT경영전공 교수는 "실물경제가 좋아져 기업실적에 따라 주가가 오르면 시장이 탄탄한데 지금은 금리가 낮아 오갈 데 없는 돈이 주식시장으로 몰린 상황"이라며 "수익과 리스크는 같이 가는 것이다. 위험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자금을 장기투자하는 거면 본인이 선택하는 거지만 빚을 내서 하는 건 상당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