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향배 충남대 교수 |
인간에게 주어진 삶은 기껏해야 대략 100년이다. 전통시대 장수와 요절의 분기점은 50세이었다. 50세를 넘어 환갑에 이르면 잔치를 벌여서 이웃 사람들과 장수의 기쁨을 함께했다. 그 장수에도 등급이 있다. 장자(莊子)를 보면 100세는 상수(上壽), 80은 중수(中壽), 60 이상은 하수(下壽)로 나눈다. 장수를 축하하고 요절을 안타까워하는 것이 인간의 마음이다. 시점의 차이는 있지만, 인간은 귀천(貴賤)을 떠나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과정을 거친다.
사실 죽음의 시각에서 보면 인생은 모든 것이 허무해진다. 당시에는 중차대한 일도 지난 뒤에 되돌아보면 별일이 아닌 경우가 많다. 이렇게 허무한 인생을 유의미한 일로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하나가 정관(靜觀)이다. 조용히 사물을 관조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면서 진리를 깨닫고 내적으로 성숙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은 인생의 경험이 풍부할수록 세상을 살아가는데 여유가 있다. 복잡하고 정신없는 상황에서도 항상 여유가 있으며 난관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느끼며 하늘을 즐기며 느긋하게 세상을 살아간다.
공자는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나이에 따라 성숙해야 단계를 제시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교육을 받기 시작한다. 가정과 학교에서는 언행을 배우고 범절을 배운다. 어릴 때는 부모와 선생님이 가르쳐주는 대로 습득하고 행동한다. 15살이 되면 왜 공부하고 윤리를 실천해야만 하며, 사람이란 어떤 존재이며 사회적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이상향이 무엇인지 등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를 공부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15세는 학문에 뜻을 둔다는 의미에서 지년(志年), 지학(志學)이라고도 한다.
수양과 함께 학문을 탐구해 30세가 되면 이치를 알고 언행을 사리에 맞게 할 줄 알며 선악을 판별할 줄 알아야 한다. 사고나 언행을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해 세상에서 자립(自立)할 수 있는 진정한 성인(成人)으로 성장해야 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더욱 정진해 40세가 되면 모든 이치를 알아서 어떤 일이든 미혹되지 않고 순리대로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불혹(不惑)의 나이에는 깊은 지혜와 명철한 판단력, 일을 순리대로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세상에 나가서 뜻을 마음껏 펼치는 시기다.
그러나 세상일은 만만치 않다. 아무리 능력을 갖추고 웅대한 포부를 가진 채 세상에 나가더라도 자기 뜻대로 일은 되지 않는다. 온갖 좌절과 모욕을 맛보기도 하고 지위를 쟁취하고 성공하는 즐거움은 일시적으로 느껴도 보지만 세상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돌아간다. 50세쯤 되면 길흉화복(吉凶禍福)이 무언가 알 수 없는 존재에 의해 정해진 대로 세상이 돌아감을 마음속에서 깨닫기 시작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그 천명을 알고 순응하나 어리석은 자는 거역하다 화를 자초한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라 하지 않았던가. 오십 정도 되면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은 최선을 다해야 하지만 그 성패는 하늘에 맡기고 달관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천명을 모르고 천방지축으로 날뛰다 보면 어느새 더 큰 낭패와 재앙이 몸에 따른다.
육십 가까이 살면 격변하는 세상일을 온몸으로 겪으면서 길흉화복의 갈마듦과 인정세태의 변화에 대해 달관하는 힘이 생기기 시작한다. 희노애락의 감정을 훤히 들여다보고 흥망성쇠의 변화에서 천명을 알고 순응하면서 천리(天理)와 인사(人事)에 달관하는 사람이 된다. 그래서 이순(耳順)의 나이에는 몸이 늙었지만 어떤 사물을 보거나 소리를 들어도 마음으로 척척 천리를 이해해 감정의 기복 없이 귀가 순해진다.
70세가 되면 언행을 자유롭게 해도 천리의 법도에 척척 맞게 되는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 나의 욕망과 고집을 끊임없이 덜어내고 정관을 통해 전리와 인정을 체인(體認)하면서 내적·외적으로 자신을 성숙시켜야 한다. 이런 경지에 도달하면 몸은 속세에 어울려 살지만, 도를 즐기는 진정한 자유인이며 성인(成人)의 완성이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그만큼 어른으로서 성숙해야 함을 말한다. 오늘날 나이 먹은 사람은 많은데 성숙한 어른이 보이지 않는 것은 왜일까. 나이 먹을수록 노욕(老慾) 곧 고집과 욕망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이는 학식과 상관이 없다. 자신을 내려놓지 않으면 오히려 배운 사람일수록 더 큰 노욕에 사로잡힌다. 고집과 욕망을 버리는 것은 나를 내려놓은 작업이며 인성의 본연으로 돌아가는 일이다. 나이를 든다는 것은 정관을 통해 이런 이치를 깨달으며 성숙해가는 것이 아닐까.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