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력과 행정력에 상처를 입은 만큼, 타 부처 기관 유치를 통해 무너진 위상과 신뢰를 되찾을 수 있느냐에 따라 민선 7기 4년 차 민심의 향배를 좌우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무엇보다 중앙부처의 공백을 메울 파급력, 시와 상생할 수 있는 미래성을 담보한 기관 이전까지 '투트랙 광폭 행보'를 보여줄 최적의 타이밍이 됐다는 점에서 대전시가 어떤 성과를 낼지 관심이다.
대전시는 27개 기관을 목표로 최근 '유치추진단'을 구성하고 실·국별로 역할을 분담했다. 1월 현재 부서마다 전담기관을 방문하며 향후 공조 체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맨투맨 전략을 펴고 있다. 이와 함께 2005년 1차 공공기관 이전 당시 광역단체가 지원했던 범위만큼 지원 혜택도 구상 중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전을 결정할 때 보면 정부가 기관, 지자체 의견을 반영한다. 현재 전담기관을 방문하는 목적은 의향을 살피면서 대전에 왜 와야 하는지 명분을 쌓아가는 과정"이라며 "향후 정부가 이전 기관을 지정할 때 유리한 고지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는 1월 전담기관 방문을 마무리하고, 2월 결과보고를 통해 향후 방향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과학과 기술력이 강점인 대전은 한국벤처투자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등이 유치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물론 공공기관 이전은 오롯이 정부의 몫이다. 신규 사옥 마련, 주택 우선 분양, 지방이전 수당 지급 등도 지원 혜택도 국가가 부담한다. 다만 시의 광폭 행보를 주문하는 것은 균형발전이라는 명목 아래서 시가 구상한 최적의 방안과 16년 만에 이뤄낸 숙원 사업을 완성형으로 이끌 행정력의 시험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전시는 수동적인 행정력으로 굵직한 현안 사업을 목전에서 놓쳤다. 중기부 사수와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무산이 대표적이다. 민·관·정이 합심했으나 중기부 이전이 결정되면서 시의 행정력은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일각에서는 민심을 읽고 기초단체와 협력해 중앙정부에 대응할 수 있는 주도면밀한 플랜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이유기도 하다.
혁신도시와 함께 중앙행정기관 이전에도 대전시의 역할은 막중하다. 중기부가 빠르면 6월께 이전을 예고했기에 이 시기와 맞물려 이전될 기관을 확정해야 한다. 이사 등 기간을 제외한다면 겨우 5개월 남짓 남은 일정이기에 정부와의 긴밀한 소통으로 이전을 매듭지어야 한다.
시 관계자는 "여러 경로를 통해서 중앙행정기관에 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