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전의 경우 저출산 기조와 함께 세종시로 이탈까지 맞물려 지역 인구감소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4일 대전시와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모두 5182만 9023명으로 지난 2019년 말보다 2만838명 감소했으며 대전은 147만 4870명에서 146만 3882명으로 1000명 가까이 줄었다.
대전 5개 구의 최근 5년간 통계를 보면 대덕구는 19만 2688명에서 17만 4922명으로 1만 7766명으로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중구는 2016년 25만 2490명에서 23만 7425명 1만 5065명, 동구 23만 4959명에서 22만 3368명 1만 159명, 서구 2016년 49만 1011명에서 48만 780명 1만 231명 등의 순으로 감소했다. 반면 유성구는 34만 3222명에서 35만 2604명으로 9382명으로 유일하게 늘었다.
전국적으로는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2만여명 줄어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출생자 수가 27만여 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데 비해 사망자 수는 30만 명을 넘으면서 인구가 자연 감소했다.
주민등록상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무엇보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1992년 113만 명이던 대전 인구는 10년 후 153만 명을 넘어서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2년 세종시 출범 이후 감소세로 전환, 146만 명까지 줄어든 상황이다. 인접한 세종시와 극명하게 대조된다. 인구가 증가한 지자체는 17개 시·도중 5곳에 불과하며, 경기 18만 7348명, 제주 3646명, 강원 1338명, 충북 830명 증가했으며 세종은 1만 5256명으로 증가 폭이 두 번째로 높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인구 유인책이 아닌 정주 여건 개선 등 지속적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치구 관계자는 "원도심의 경우 고령화와 함께 저출산 현상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다가옴에 따라 인구 절벽이 계속되고 있다”라며 "지역으로 인구를 유입할 수 있는 강제력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시는 인구정책 조례를 제정하고 이달 중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번 용역은 6개월간 진행하며 시는 5개년 중장기 대책을 구상해 일자리 증대, 청년 주택사업 확대, 도시 인프라 개선 등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과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은 세종시 인구 유출로 인해 지속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라며 "올해는 용역 발주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청년들을 위한 좋은 일자리와 좋은 정주 여건 조성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