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혁 작곡가 |
올해는 음악인들에게 뜻깊은 해였다. 1770년 12월 17일 지금으로 부터 250년 전 독일 본에서 Ludvig van Beethoven이 태어났기 때문이다. 베토벤이 태어 난지 250주년이 되는 해다. 그래서 올해는 베토벤을 주제로 많은 음악회가 기획되었었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취소 또는 연기되었다. 그럼에도 그들은 가능한 베토벤을 연주하고자 했다. "왜 이 들은 어려움 속에서도 베토벤의 음악을 연주하려 했을까? 그의 음악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인류가 처음 경험하는 전 지구적 코로나 19 대유행이라는 재난 속에서 베토벤의 음악과 삶에서 나온 메시지는 우리에게 더욱 필요하다.
"가장 아름다운 예술은 아름다운 삶이다"라는 말이 있다. 베토벤의 생애에서 그것을 본다. 그는 끊임없이 자신의 역경을 극복하며 살았던 사람이다. 베토벤이 살던 시기는 유럽의 격변기였다. 유럽은 세계로 진출하고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있었다. 시민계층이 형성되며 오래된 봉건사회가 해체되고 있었다. 이 시기에 유럽은 계몽주의 사상 "고난 속에서 광휘를 바라며"라는 모토를 걸고 현실을 개척하고자 했다. 베토벤 역시 계몽주의를 외치며 작곡하였다.
그는 음악가에겐 치명적인 청각장애를 앓게 된다. 귓병이 심각해지는 절망 속에서 그는 친구 베겔러(Wegeler)에게 "나는 운명의 목덜미를 잡겠다. 운명에게 결코 지지 않겠다"라며 역경을 이겨내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극복해 냈다. 그리고 청각장애 속에서 인류사에 길이 남을 음악의 금자탑을 남겼다. 그의 음악을 "체험 고백적 음악"이라고도 한다. 그는 역경을 딛고 일어나며 교향곡 5번을 썼고, 사랑을 담은 피아노 소나타 "월광"을, 신앙의 표현인 "장엄미사"를 작곡했다. 그는 말한다. "나는 인류를 위해 포도주를 만드는 바커스다"라고. 그는 흥과 열정이 넘치는 교향곡 7번을 썼다. 교향곡 6번 '전원'은 자연을 묘사했다. 영웅을 주제로 교향곡 3번'에로이카'가 작곡했다.
베토벤은 그의 음악을 통해 역경을 이겨내고 앞으로 나가라고 외친다. 이는 그의 교향곡 9번 합창에서 들을 수 있다. 이 교향곡은 1793년 그는 실러의 시 "환희의 송가"를 읽고 이를 작곡할 것을 결심하고 오랜 준비 끝에 1823년에 완성한 곡이다. 작곡에 30년의 시간이 걸린 샘이다. 초연은 1824년 5월 7일 비인의 케른트나트르 극장에서 하였다. 그는 교향곡 4악장 서두에 Bariton Solo를 통해 "오! 친구들이여 이런 곡조는 아니고 우리들은 더욱 즐거운 곡조, 그리고 환희에 넘친 곡조를 부릅시다." 말한다. 그리고 실러의 시로 합창을 한다. "환희여, 아름다운 주의 빛, 일리지움(낙원)의 딸이여, 정열에 넘치는 우리들은 그대의 성전에 들어가리라. 그대의 매력은 험한 세상에 의해 떨어진 것을 다시 부합시킨다. 그대의 날개 안에 머물 때 인류는 형제가 되리라." "껴 안어라 백만 인이여! 껴 안어라 세계의 뭇 사람들이여!" 즉 인류는 한 형제라는 메시지다. 코로나로 인해 우리는 거리를 두며 멀어졌다. 서로를 배려하기 위해 거리를 두고 있지만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 돕고 위로하며 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해야한다. 그럴 때 "그대의 날개 안에 머물 때 인류는 형제가 되리라"처럼 형제가 되고 함께 코로나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의 4악장을 영상이나 음원 또는 음반을 통해 들어 보자. 이 음악과 함께 용기 내어 희망을 갖고 앞으로 나가자. 2021년을 맞이하자. 코로나 19 이 또한 지나가리니… 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