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자체의 후보지보다 국공유지 면적이 비교적 적거나 개발제한 구역 등의 제약 요인에 따라 다른 후보지를 제시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22일 국토교통부는 도심융합특구 1차 사업지로 대구와 광주를 각각 선정했다.
대구가 제출한 도심융합특구 부지는 경북도청 이전부지, 경북대학교, 삼성창조캠퍼스 등 3곳으로 구성됐다. 경북도청 이전부지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경북도로부터 부지를 매입 중인 국공유지다. 광주가 제출한 사업 부지는 시청이 있는 상무지구 서편 지역으로 김대중컨벤션센터와 상무시민공원 등 현재 이용 중인 부지와 옛 상무소각장, 농지 등 대규모 유휴부지로 구성돼 있다. 유휴부지의 절반 정도를 시와 광주도시공사가 보유하고 있어 신속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이 가능하다.
대구와 광주 사업 위치는 대부분 국공유지거나, 시 소유부지다.
결국 이번 도심융합특구 1차 사업 선정에 중요한 요소는 '제약 요인이 적은 부지'로 사업을 바로 추진할 수 있는 곳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대전시가 제출한 중구와 서구 2곳 모두 당장 사업을 실행하기에 제약이 있다.
서구의 경우 자연녹지지역,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며, 중구의 경우에도 토지가 시·구 소유가 아니며 관계부처가 얽혀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전시는 내년 2월에 2차 선정 계획이 있는 만큼, 도심융합특구 지정을 위해 새로운 후보지를 고민하고 있다.
유득원 기획조정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난 4일 중구와 서구 부지를 후보지로 제출했으나, 선정되지 못했다"며 "이는 국공유지 면적이 타 후보지보다 적고 개발제한 구역 등 제약 요인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며, 국토부 선정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자치구와 협의해 새로운 후보지를 발굴하는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심융합특구는 광역시 5곳의 도심에 기업,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판교2밸리'와 같이 산업·주거·문화 등 우수한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