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제 기자 |
여전히 TV와 영화에서 장애나 편부모 가정에서 자란 며느리나 사위를 가족으로 들이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장면들은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반대로 상대 집안이 교육자 집안이라고 하면 호의를 보이며 혼사 진행이 순조롭게 되는 장면들도 기억이 난다.
너무나 진부한 컷(Cut)으로 없어져야 하는 씬(Scene)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이유는 사회적 차별 철폐나 인문적 소양을 위해서는 아니다. 이 시대에선 더는 교육자가 명망 높은 사회층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하기 때문이다.
교육 현장에서 낮은 모습으로 학생을 섬기며 가르치는 선생님들께는 미안한 표현이다. 하지만 교육 현장은 생각보다 심각하리만큼 고위 행정 교육자들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 교육 기자로 짧은 기간을 보내고 있지만, 지금까지 느낀 바는 절실히 그렇다.
대전의 교육 관련 행정은 학생들이 중심이 아니다. 그렇다고 억척스러운 학부모가 주인이 되지도 않았다.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그들이 중심이 돼버렸다. 여러 이유 중 하나는 2만이 넘는 표가 교육기관 종사들에게 나오기 때문이다. 대전교육청과 관계 교육기관들에 있는 행정직과 교사 출신 전문직을 모두 합치면 2만 1000명이 넘는다. 교육감 선거에서 당락을 좌우할 수 있는 큰 비율이다.
다음 정권을 위해 이들을 힘들게 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이 있는 듯하다. 투표할 수 있으며 교육에 관심이 있는 현직 교사들과 학부모들에겐 크게 구설에만 오르지 않으면 안정권이라는 판단이 섰다는 생각이 든다.
대전교육청이 추진하는 정책마다 내놓는 핑계는 학교 사정과 환경에 따른 운영이라고 강조하지만, 실상은 학교와 소속 교직원, 그리고 교육청 직원들 편의를 봐주는 것으로 더 크게 해석되고 있다.
사립학교와 내통 의혹은 더 심각하다. 올해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른바, ‘스쿨미투’ 관련한 전수조사를 두고 시의회 교육위원회와 대전교육청 관계자들 사이에서 고성이 오갔었다.
끝까지 피해 전수조사는 불가하다는 것이 교육청의 답이었다. 내막은 크고 작은 성추행 사건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발생해 왔는데,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많고 현재 교육행정가들과 교직원들이 책임지고 해결하기엔 고될 수밖에 없어 교육계 모두를 위한 교육청의 고집이라는 게 뒷얘기다. 피해 학생들만 제외하면 모두가 행복한 결정을 내린 것이다.
2021년도부턴 대전교육의 방향이 바뀌길 바란다. 2만 명의 교육자들 편의보다는 20만 명의 학생과 그들의 학부모를 위해, 그리고 대전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진짜 교육이 중심이 되는 그런 교육정책을 펼쳐주길 바란다.
이현제 경제사회부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