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황우 교수 |
먹거리도 예외는 아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재택근무가 늘어나고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됨에 따라 가정식을 먹는 횟수가 늘면서 주부들이 신선하고 안전한 식재료를 찾아 자동차나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먼 거리를 가거나 사람들이 많은 대형마트를 가기보다는 집 근처 슈퍼나 재래시장에 가고 동네 음식점과 배달음식을 자주 이용하기 때문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식품의 이동 거리가 짧고, 더욱 안전하며, 공정한 로컬푸드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최신 보고서 내용이다. 코로나 19 인해 해외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안전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로컬푸드의 가치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로컬푸드(local food)는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지역 농수산물로 국가 기준마다 다르지만, 흔히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농수산 상품을 지칭한다. 생산지와 소비자 간 배송 거리 및 유통 단계를 줄여 식품의 신선도가 높아지고 가격도 낮아진다. 로컬푸드 매장을 이용하면 음식 재료가 신선하고 가격도 저렴할 뿐만 아니라 판매가 다 된 농산물이나 특별하게 찾는 농산물을 주문하면 근처에 있는 농장은 바로 수확하여 가져다준다.
전국의 로컬푸드 매장도 도시를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농협의 경우, 2012년 용진농협을 시작으로 2013년 20곳에 불과했으나 2019년 390곳, 올해 9월 말 435곳으로 늘어났다. 매출도 급증하여 전국의 농협 로컬푸드 직매장 매출은 9월 말 기준 3488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8% 증가했다.
지자체도 농수축산인에게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고, 시민에게는 신선한 먹거리를 공급한다는 취지에서 최근에 로컬푸드 매장을 건립하고 로컬푸드 브랜드를 만들어 홍보하고 있다. 대표적인 지자체 로컬푸드 브랜드로는 대전광역시의 '한밭가득', 충청남도의 '파머스161', 강원도 강릉시의 '강릉잇다' 등이 있으나 활용과 운영에서는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지자체에서 로컬푸드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로컬푸드가 '윤리적 소비'이기 때문이다. 윤리적 소비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 따위를 구매할 때 윤리적인 가치 판단에 따라 의식적으로 올바른 선택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로컬푸드는 인간이나 환경에 해를 끼치는 방법으로 생산되어서는 안 되며 공정한 거래로 생산자와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어야 소비자가 선택할 것이다.
윤리적 소비의 하나인 로컬푸드는 도시와 농촌이 함께 상생·발전할 수 있으며 지역 사회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학교급식으로 납품해 학생들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과 지역 농산물 판로개척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끌어낼 수 있으며 로컬푸드를 활용한 요리 교실, 가공식품 공장, 레스토랑 등을 운영하면 경력단절 여성이나 시니어 등 사회적 약자들의 식사 해결,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로컬푸드 매장은 농수산물 외에 가공품, 공예품 등 지역에서 생산되는 물품의 판매장으로 확대되어 지역의 대표적인 유통시설로 성장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소비자들은 로컬푸드를 이해하고 신선함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지만, 안전성에 대해서는 신뢰도가 높은 편은 아니기 때문이다. 로컬푸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농산물 안전성 확보 및 생산자 이력 관리를 통하여 입점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산지와 생산자를 지역과 연계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가깝다는 것은 많이 안다는 것이기 때문에 생산지와 생산자를 잘 알 수 있도록 지역 연계성을 높이고 이를 충분히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는 로컬푸드가 코로나 시대에 주목받는 먹거리 차원을 넘어,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하는 새로운 유통경로로 지역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국가와 지자체, 국민의 관심과 가치의 재발견이 요구된다.
/노황우 한밭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