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18일 대전MBC 공개홀에서 허태정 시장과 시민 100여 명, 장수찬 목원대 행정학과 교수, 김영진 사회적협동조합 혁신청 대표가 전문가 패널로 참석한 가운데 온라인 시민과의 대화 '소통대전(大田)'을 개최했다.사진제공은 대전시 |
허태정 대전시장은 민선7기 남은 기간 동안 시정에 대한 시민 참여를 적극 확대해 '시민주권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18일 대전MBC 공개홀에서 허태정 시장과 시민 100여 명, 장수찬 목원대 행정학과 교수, 김영진 사회적협동조합 혁신청 대표가 전문가 패널로 참석한 가운데 온라인 시민과의 대화 '소통대전(大田)'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시민이 행복한 대전', '대전, 혁신의 도시', '대전의 미래 100년'라는 3개 부문별로 총 9개의 다양한 시민들의 질의가 나왔다.
'시민이 행복한 대전' 부문에서는 대전시의 공공의료체계 구축과 코로나19 대응상황 및 계획, 대전시티즌의 기업구단 전환에 따른 대전하나시티즌의 정체성에 대한 질의가 나왔다.
허 시장은 의료원 예타면제를 환영하면서도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에 대한 종합적인 컨트롤타워 마련은 물론, 전국 최초로 설립되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과 함께 시민들에게 양질의 저렴한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 혁신의 도시' 부문에서는 혁신도시 지정과 공공기관 지역인재 의무채용의 효과, 스타트업 파크와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 특구 조성 및 온통대전 등 대전의 미래 먹거리와 관련된 시민질의가 진행됐다.
허 시장은 "혁신도시 지정과 공공기관 지역인재 의무채용에 대해서는 세종시 출범에 따른 인구·경제 유출 심화에 따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온 핵심과제였다"며 "향후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인구 유입과 세수증대는 물론 지역 청년들의 공공기관 채용기회가 확대되는 등 다양한 기대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스타트업 파크 공모와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 특구 지정에 대해서는 그간 부족했던 대덕특구의 R&D 기술의 사업화 기능이 강화돼 지속가능한 창업생태계가 형성되고,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국가 경쟁력을 견인하는 대전형 실리콘 밸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온통대전에 대해서는 지난 5월 발행 이후 현재 인구의 34%인 약 50만명이 9000억 원을 소비해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위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전의 미래 100년'부문에서 허 시장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시민들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힘있는 대전을 만들기 위해 도시경쟁력을 키워 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대덕특구과 혁신도시, 대전형 실리콘 밸리 조성을 통한 첨단 미래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12년 만에 시행사를 선정한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개발과 쪽방촌 도시재생 사업, 트램 건설 및 노선 주변 맞춤형 도시재생, 대전의료원 설립 및 제2시립도서관 건립 등 원도심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대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충청권 메갈로시티에 대해 허 시장은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과 함께 비대해진 수도권과의 경쟁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대전·세종 통합은 물론 충청권 전체가 참여하는 초광역 지방정부 연합체가 필요하다"며 "세종시·충남·충북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대전세종연구원 등 지역 연구기관을 통해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허 시장은 '시민주권시대'를 열어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최근 지방자치법 개정 등 지방자치 강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다양한 소통 프로그램을 강화·운영하고, 주민참여예산제 확대, 민주시민교육, 공동체 강화를 통한 동 주민자치회 확산 등 "지방행정에 대한 시민들의 직접 참여를 강화해 시민이 주인이 되는 시정의 핵심가치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는 지방분권 강화에 힘쓰고 있다. 지방분권으로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특색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지역경쟁력과 차별성 확보, 그리고 지역간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의 동력을 만들어 냄으로써, 청년들에게 일자리와 주택 등 지역에서 정착하여 살아갈 수 있는 기본적인 삶의 질과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면 국가균형발전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해 정부는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국민 개개인에게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대중적인 민주주의를 의미한다. 1935년 미국 공화당의 전당대회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말로 의회제에 의한 간접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시민운동·주민운동 등을 통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참여민주주의가 해당된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