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어느 날 밤에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부잣집으로 도둑질하러 갔다. 아들에게 창고 안으로 들어가서 보물을 훔치게 하고는 밖에서 문을 열쇠로 잠갔다. 그리고는 도둑이야 하고 소리치고는 도망갔다. 집주인과 하인들이 깨서 확인해보니 없어진 물건도 없고 창고 열쇠도 그대로 잠겨 있어서 안으로 돌아갔다. 창고 안에 있는 아들은 빠져나올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아들은 손톱으로 벽을 긁으며 쥐 소리를 냈다. 창고 안에 쥐가 들었다고 생각한 주인은 가보지 않을 수 없었다. 등을 들고 열쇠를 열어 창고 안을 살피려는 순간 아들은 순간적으로 뛰어 도망 나왔다. 아들은 연못가로 도망가다가 큰 돌을 집어 호수로 던지고 다른 길로 갔다. 쫓아오던 사람들은 물소리를 듣고 연못으로 도망간 줄 알고 주변을 수색했다. 그 사이에 아들은 빠져나올 수 있었다.
집에 와서 아들은 아버지에게 따져 들었다. "짐승도 자기 자식은 보호하는데 어떻게 아버지가 자식을 버릴 수 있나요?" 아버지가 천천히 말했다. "지금부터는 네가 천하에서 독보적인 도둑이 될 것이다. 남에게 배운 기술은 분명히 한계가 있지만 마음에서 터득한 것은 그 응용이 무궁하다. 내가 너를 함정에 빠뜨린 것은 너를 구해주는 것이다. 급박하게 쫓기는 상황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네가 어떻게 쥐 소리를 내며 돌을 던질 기묘한 생각을 했겠느냐."
이는 강희맹의 '훈자오설(訓子五說)' 중 도자설(盜子說)의 내용이다. 당시에 명문가 자식들이 학문을 해 명성이 조금 드러나면 이전의 사람을 무시하고 학문이 앞선 것으로 건방을 떨고 다녔다. 이는 아들이 도둑질을 아버지에게 자랑하던 때와 같다. 어려운 환경에 당해서 스스로 지혜를 터득해야 참된 지식이 되며 어떠한 일도 능수능란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강희맹은 아들에게 이런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이다.
요즘 수능이 끝난 지 얼마되지 않았다. 내 딸은 수능이 끝나자마자 머리를 염색하고 코를 뚫는다고 통보했다. 염색은 그렇다고 치더라도 코를 뚫는다는 것은 청천벽력같은 소리였다. 둘 다 안 된다고 할 수는 없어서 머리염색만 허락했다. 곧바로 미용실에서 염색하고 카톡에 올린 사진에는 머리가 빨강색이었다. 그것도 찐한 빨강색.
경쟁에 치달리는 수능 공부는 어렵고 힘든 과정이다. 그 경쟁에서 이겨서 명문대학을 가기를 바라는 것은 부모라면 똑같은 마음일 것이다. 그렇다면 명문대학에 가면 정말로 만족할까. 나는 딸아이가 정말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본다. 딸과 대화를 나눠보면 하고 싶은 일이 계속 변한다. 자신도 정말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모른다는 말이다. 그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그것을 고민해보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과 무작정 성적에 맞춰 진학한 학생과는 실제 대학생활에서 차이가 많다.
대개 부모는 나처럼 닫힌 시각에서 자식을 바라보는 이가 많다. 부모는 자식에게 자신의 길을 찾아가도록 묵묵히 바라보면서 엇나가지 않도록 조언만 해주면 된다. 부모가 볼 때 어려보이지만 자식들은 험난한 세상에서 스스로 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 능력을 스스로 발견할 때 공부에 대한 열정도 타오를 수 있고 난관을 당했을 때 헤쳐 나올 수 있는 지혜도 스스로 터득한다. 대학이야 어디 가든 뭐가 대수인가. 그래도 코는 안 뚫었으면….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