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원장 |
그리고 안경을 새로 바꾸면 며칠 동안은 적응하는 데 애를 먹은 것이 생각난다. 그런 과정을 거쳐서 지금은 안경이 내 몸의 일부가 되었다. 코비드19가 장기화하면서 마스크는 이제 필수품이 됐다. 마스크를 착용한 지도 벌써 일 년이 다 되어간다.
이제 점차 익숙해져서 어느덧 마스크가 내 몸의 일부가 되어가는 것을 느낀다. 필자도 많은 사람과 같이 안경에 줄을 달듯이 마스크에도 줄을 달아서 목에 걸고 다닌다. 그래야 잃어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는 일회용이 아니라 안경과 같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가 개발됐으면 하는 희망도 가져 본다.
20년 전에 일본 국립암센터 연구소에서 일 년간 연구원으로 있을 때 일본 사람들이 마스크를 많이 쓰고 다니는 것이 신기해 보였다. 일본 사람들은 봄에 꽃가루가 많이 날려 알레르기 예방을 위해서 쓴다고 하고, 독감이 유행할 때도 많이 쓰고 다녔다.
그러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개인적으로 필자는 독감이 유행할 적에도 마스크를 써본 경험이 거의 없다. 그런데 마스크를 쓰고 다니게 된 것은 바로 미세먼지 주의보 때문이었다. 특히 초미세 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늘어나면서 외출 시에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그리고 대부분 사람이 집에 황사마스크 한두 개쯤은 가지게 되면서 우리 국민이 마스크 착용에 친숙해지게 됐다. 이런 배경으로 코비드 19가 퍼지자 마스크 대란이 일어날 정도로 국민이 마스크를 쓰기 시작했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코비드 19 유행이 시작되던 지난봄에 우리를 혼란에 빠뜨린 일이 있었다. 미국에서는 일반인의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지 않다고 권고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초기에는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도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가 코로나19의 예방 방법으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있지 않다고 발표했고,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의학적으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 같은 미국 CDC 가이드 라인은 틀렸다. 우리 모두가 알다시피 마스크 착용만이 코비드 19 감염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전 세계 의학계는 잘못된 권고안이 얼마나 커다란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지 실감하게 됐다.
코비드가 창궐하는 외국에서는 아직도 마스크 착용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미국의 대통령도 마스크 쓰는 것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고, 자신과 가족이 코비드19에 감염되기도 했다. 그럼 왜 그들은 그토록 마스크 착용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사회학자들은 문화권에 따라 마스크 착용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고 한다. 서양에서는 얼굴을 가린다는 것은 훨씬 부정적이고 심지어 공격적인 의미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종교적 이유를 들어 마스크를 쓰지 않는다. 이렇듯 마스크로 얼굴을 감추는 것에 문화적, 종교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나라들이 많다는 것이다.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중동의 문화인 히잡과 부르카 착용을 금지했다. 프랑스는 부르카 금지법을 도입하여 공공장소에서 얼굴 전부를 가리는 부르카 그리고 일부를 가리는 히잡을 엄격하게 단속했고, 여성 억압의 상징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공공영역에서는 얼굴을 드러내야 한다는 생각이 서구 사회의 문화적 전통이라고 한다.
이런 마스크에 대한 작은 문화적 차이가 코비드 19 유행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마스크 문화에 익숙하지 못한 미국과 유럽은 감염자와 사망자가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그래도 우리나라와 같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비교적 통제가 잘 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마스크 착용 문화는 자신의 건강을 위한 행동일 뿐만 아니라, 국민적인 협력과 타인을 위한 이타심의 발로로 평가되고 있다.
/이승훈 을지대학교의료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