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유진 교장 |
지금 학생들은 우리나라 역사 이래 물질적으로 가장 풍요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 가정에서도 온 가족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자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다른 나라 학생들과 비교해도 전혀 뒤지지 않는다. 그런데도 OECD 국가 중 학생 행복지수가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내·외적인 조건들에 대한 충족 여부가 행복과 불행을 가르는 결정적인 요인이 아님을 방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다른 나라에 비해 행복한 학생의 비율이 낮은 것은 아마도 남과의 상대적 비교가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타인에 의해 남과 비교를 당하는 상황이 빈번하다 보니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남과 비교되는 순간 행복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학교에서도 이런 점을 고려해 학생들에 대한 평가를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로 전환하여 운영해오고 있다. 학생들에게 대한 상대적 서열이나 순위를 지양하고 학생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초점을 맞춘 절대평가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경쟁이 있는 곳에서 상대적인 비교가 없을 수는 없다. 입시나 입사 등 여러 사람이 한정된 자리에 들어가려 할 때는 어쩔 수 없이 상대적인 비교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 사회 어디를 가더라도 경쟁과 상대적 비교를 벗어나 살 수는 없다. 남과의 비교가 행복을 가로막는 걸림돌임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전혀 경쟁이 없는 곳에서 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치열한 경쟁구조에 몰려 행복을 느끼는 비율이 낮은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경쟁 구조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가 전제되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건 지나치게 낭만적인 생각이다. 설령 경쟁 구조가 획기적으로 변화된다 하더라도 또 다른 조건들이 끊임없이 뒤를 따라 충족돼야 행복이 지속할 것이다. 내·외적인 조건이 충족되면 행복이 찾아올 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행복이 찾아올 즈음 새로운 행복 조건들이 끊임없이 생겨날 것이다. 조건의 충족만으로는 행복을 찾을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행복은 내·외적인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지금 현재 가진 것과 처한 상황에 만족할 줄 알고 감사하며 최선을 다해 살다 보면 행복해지는 것이다. 행복은 쫓아다녀야 할 대상이나 목표가 아니다. 찾는다고 찾아지거나 취하려 한다고 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행복해지겠다고 열심히 애쓴 결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삶에 충실하고 만족할 때 슬며시 찾아오는 것이다. 그렇게 어느덧 내게 와 있는 것이다.
학생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학생 주변의 교육 환경을 개선해 만족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삶에 감사하고 만족해하며 최선을 다하는 것이 행복이고 기쁨임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 더 급하고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교육정책이나 방향이 학생 주변의 환경 개선이나 교육 체계 변화에 중점을 두는 것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지만, 그에 앞서 학생들 자신의 존재에 대한 신뢰, 삶을 바라보고 대하는 태도, 내면의 가치 등을 일깨울 수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학생의 행복을 담보하는 지름길일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편리하고 현대적인 교육시설을 제공해 주는 것 못지않게 학생들 스스로 마음을 옹골차게 다듬고 가꾸는 일에 몰두할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해서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행복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속에 이미 싹트고 있음을 깨달을 수 있도록 말이다. 행복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힘으로 찾아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전유천초등학교 노유진 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