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
대전문학관이 있는 아파트 숲은 사시사철 스토리가 있어 참 좋습니다. 감탄의 언어와 열매가 꽃이 되는 만추, 지금은 사랑을 속삭이는 여인의 입술보다 더 붉은 산수유 열매가 루비보석으로 빛나고 있습니다. 맥문동 잎은 자꾸만 푸르르고 은행잎이 수북이 쌓인 풍경 속을 아침마다 걷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오래된 것들에게서는 진한 향기가 나는 법이지요. 사람도 사랑도 우리가 만나는 삼라만상이 모두 그러합니다. 저도 오래된 인연을 버리지 못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한 달 전 모르는 전화가 왔습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10년 전 광주의 어느 행사장에서 만났던 분으로 한때 '머들령동인'으로 문학청년을 꿈꾸었지만 잊고 살아오다가 늘 숙제를 마치지 못한 아이처럼 마음속 짐이 되어 다시 시 공부를 하고 싶다는 말씀에 용기를 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러면서 시를 잘 쓸 수 있을는지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었습니다. 일본의 여류작가 시바타도요(1911~2013)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92세에 아들의 권유로 시 공부를 시작하여 2009년 첫시집 『약해지지 마』를 출간 160만부의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그는 자신의 책이 전세계에 번역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것이 꿈이었다고 하면서 '살아있으면 반드시 좋은 일이 있다고 불행이라는 파도에 지지 말아야한다'라고 하였지요.
글을 쓰는 일이란 일상의 소중함을 감성의 연마질로 문학이라는 그릇에 오롯이 담아내는 것으로 독자들에게 수취인불명이 되지 않기 위해 시의 주소는 늘 정직해야 합니다. 시절인연처럼 그분은 습작해온 시들로 대전문학 2020년 겨울호에 등단하였지요. 오랫동안 소망해온 꿈을 이루게 해준 것만 같아 흐뭇한 마음에 문득 논어의 이청득심이 떠올랐습니다. 지금 우리사회에 그 어느 때보다 꼭 필요한 화두가 아닐까 합니다. 위정자를 비롯한 국민 모두가 서로 존중하고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여 경청한다면 서로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는 교훈을 다시 한 번 새겨야겠습니다.
코로나가 주춤하는 사이 올해도 감성시인학교를 개최하였지요. 참가자 중 할머니의 말씀을 손녀딸이 적고 다시 할머니가 글씨를 덧씌우는 정경이 궁금하여 슬쩍 물어보았습니다. 치매 초기 증상이 있어 도시생활을 접고 귀촌을 하였다는 87세의 정분섭 할머니였습니다. "오늘 아침 운동하는 길에 민달팽이를 보았다. 불쌍해서 나무를 꺾어 숲으로 보내주었다. 오늘은 나도 민달팽이가 된 날 숲을 만나고 나무도 만나고"라고 썼습니다. 오늘 상을 받은 것은 민달팽이 덕분이라며 연신 민달팽이에게 고맙다는 할머니는 어쩌면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곧 어짊의 극치라 믿으며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한평생을 살아오신 게 분명합니다. 참 오랜만에 가슴 저미는 따뜻한 시를 만났습니다. 감사한 마음에 가을의 끝자락 떨어지는 낙엽을 보면서 가랑잎의 몸무게는 따스함이고 너그러움이라는 시구(詩句)를 다시 떠올려 봅니다.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