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전은 위기이자 기회를 맞았다. 대전은 1905년 경부선 대전역과 1913년 호남선 연결 철도로 인해 근대 도시의 기반을 형성하고 1970년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교통, 물류의 중심도시로 성장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전은 1973년 대덕연구단지 건설, 1993년 엑스포 개최, 1997년 정부청사 이전 등을 통해 과학기술과 지식기반 도시로서의 혁신 토대를 만들었다. 하지만, 인근에 세종시 조성과 수도권 과밀화 등으로 성장 동력을 상실했다. 이런 가운데 허태정 대전시장은 최근 시정 연설에서 "2021년은 대전이 한국판 뉴딜의 심장이자 혁신성장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중도일보는 국가균형발전 선도모델과 4차산업혁명특별시 완성을 통해 혁신성장 거점으로 거듭나는 대전시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기획]혁신성장 거점으로 거듭나는 대전시
③ 대전형 뉴딜로 혁신성장 엔진 '장착'
대전은 한국판 뉴딜의 심장이자 대한민국 혁신성장 선도도시를 꿈꾼다.
한국판 뉴딜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당면한 방역위기, 경제위기, 공동체 위기에 대응하고, 21세기 대한민국을 디지털경제시스템, 그린사회생태계, 휴먼공동체로 전환시키려는 초정권적 국가혁신전략이다.
대전시는 한국판 뉴딜에 지역균형 뉴딜을 추가해 국가발전의 축을 지역 중심으로 전환하려고 한다. 대전시는 대전형 뉴딜을 통해 2025년까지 총 13조2000억원을 투자해 스마트 그린시티를 만들고 13만4000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디지털뉴딜은 대덕특구 재창조 완성,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AI모델도시 조성, 소재·부품·정비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드론, 5G·IoT기반 무선통신 융합산업 육성에 나선다. 그린뉴딜은 트램 중심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 도심 속 푸른 물길 프로젝트, 도심생태·녹지축 연결사업, 혁신도시지구 그린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한다.
또한, 휴먼·고용안정 일자리 확대 지원, 미래적응형 디지털 인재 양성, 시민 '디지털역량센터' 운영 등 안전망을 강화해 미래공동체를 형성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균형 뉴딜로 스마트그린 혁신도시 조성, 충청권 실리콘밸리 조성, 충청내륙권 도시여행 광역관광 개발 등을 추진해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형 뉴딜을 발표하면서 대전세종 통합을 제안했다. 허 시장은 "이미 공동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는 대전과 세종은 행정수도의 실질적 완성과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운명공동체"라며 "대전과 세종이 통합하면 인구 200만 이상의 광역도시로 행정수도의 기반이 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끄는 중부권의 한 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충청권 행정협의회를 열고 '충청권 메가시티 추진을 위한 합의문'을 채택하는 등 대전과 세종을 넘어 충남, 충북까지 통합하는 움직임을 시작했다.
대전시는 지난 7월 23일 대전형 뉴딜 100대 과제를 발표하고 본격적인 뉴딜 프로젝트를 추진해왔으며, 그 동안 충남대와 카이스트 사이 궁동 일원의 스타트업파크 조성과 스마트시티 챌린지 2단계 사업을 비롯한 12건의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877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대전형 뉴딜 완성을 위한 과제도 있다.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을 위한 범부처 TF 구성과 국가 프로젝트화, 한국형 바이오 랩센터럴 구축 지원을 위한 입지 후보지 대전 선정, 하천법 개정을 통한 지역 그린뉴딜 추진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형 뉴딜은 현재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계속 진화하고 있다"며 "한국판 뉴딜의 중심에 지역이 있는 만큼 대전은 한국판 뉴딜의 시작이자 대한민국 대전환 중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