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천 교수 |
돌아보면, 우리나라는 19세기 말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시대적 상황과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 야욕에 의해 서서히 세계 체제로 편입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근대화의 과정을 추진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했지만 동시에 민족사적 시련을 맞게 됐으니 이 시기는 아직 모든 것이 결정되지 않은 근대 한국 역사의 현장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민족은 교육입국(敎育立國)의 기치를 내걸고 교육 기회의 균등, 교육 내용의 대중화, 민족주의 지향을 그 특징으로 하는 근대교육의 발걸음을 서서히 내딛게 됐다.
원산학사는 1883년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민관 교육기관으로 함경남도 원산 덕원부의 개화파 관리와 지방 유지들이 서당을 개량해 설립했다. 강화도 조약의 체결 이후 원산 일대에 일본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자, 원산학사는 덕원읍 지방 유지들을 중심으로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세운 근대적 학교로서 지방 유지들이 1883년 1월 덕원 부사로 부임한 정현석에게 학교 설립을 위한 도움을 청하면서 시작했다.
이에 1883년 8월 28일 덕원 부사 정현석은 정부에 학교 설립인가를 신청했고, 서부 경략사인 어윤중과 원산항의 통상을 담당하던 통리기무아문의 주사 정헌시의 지원을 받아 학교를 설립하게 됐다. 입학 자격은 덕원 근방의 나이가 어리고, 총민한 자제 또는 다른 읍민의 자제까지도 받아들였다.
육영공원은 1886년에 개교한 우리나라 최초의 관립학교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1883년 조미수호조약 체결에 대한 답례와 친선 외교 차원에서 미국에서 돌아온 보빙사절단(報聘使節團) 대표인 민영익의 건의와 함께 수행한 홍영식, 서광범, 변수 등이 주도하고 주한 미국공사관의 무관 포크 중위의 알선으로 설립이 결정됐지만 1884년 갑신정변으로 개교가 지연됐다가 1886년 7월 헐버트를 비롯한 미국인 교사 3명이 내한함에 따라 드디어 1886년 9월 23일에 학교 문을 열었다.
육영공원은 서양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이고 교역을 위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영어 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삼은 외국어 양성 기관으로서 출발했다. 육영공원은 정부 고관이나 그 자제만을 수용하는 신분적 한계와 공원 관리들의 운영비 유용, 정부의 재정 핍박 등으로 1894년 폐교됐다.
그런데 이 시기 조선의 독립과 신교육 보급의 주도적인 역할은 기독교계가 단연 돋보였다. 즉, 민족의 자존심이 훼손되는 어지러운 상황에서 조선의 황실 보호와 조선의 자주와 국권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했던 한 축이 선교사들이었으며 이들은 교육을 통해 조선의 운명을 구원하고자 했다. 이 중에 대표적인 학교가 배재학당이다.
배재학당은 1885년 8월 미국 감리교회 파송 선교사인 아펜젤러 선교사가 정동에 있는 한옥 건물을 빌려 이 땅에 신학문을 개척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사립학교로서의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당시 배재학당은 무상교육이었고 기혼자들에게도 배움의 기회를 준 열린 교육을 통해 근대화의 길을 열었으며, 한문, 역사, 교리문답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영어로 강의한 세계화 교육을 했다. 남녀 상하 귀천을 막론하고 교육의 기회를 주었다는 점과 교육 기회의 보편화를 추구하고 근대적 신교육을 지향하고 교육 내용의 근대성을 지녔다.
따라서 원산학사, 육영공원이 교육 과정의 한계와 입학생의 신분 제한 등의 전근대성을 지닌 것에 반해 배재학당은 근대교육 기관으로서의 당당한 위상을 지닌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19세기 후반 조선의 근대적 계몽을 활짝 열었던 배재학당이 우리나라 대학의 시작이었음이 새삼 떠오르는 지금은 바야흐로 입시철이다.
백낙천 배재대학교 인문사회대학 학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