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주 충남대 교수 |
충남대 여성젠더학과 2021년 3월 설립을 준비하면서 지난 9월 "대전지역 영영 페미니스트들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젊은 페미니스트 활동가들은 성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자신들의 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자긍심에 넘치면서도 경제적 불안정, 불확실성, 익명에 기반한 활동의 한계를 느끼며, 무엇보다도, 한 발표자에 따르면, 서울(중심)이 아닌 지역(주변)에 존재하는 까닭에 고립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페미니즘 담론 생산과 교육이 거의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뤄질 뿐만 아니라, 젊은 여성들의 모임들조차 수도권 중심이기 때문이다. 대전에 소재한 대학에서 대학 내 여성동아리가 있는 곳은 충남대와 카이스트 두 곳뿐이라고 했다.
그러나 '주변'의 고립감이 현실적으로 느끼는 감정이긴 해도 우리들의 '주변성'은 얼마든지 장점으로 변형 가능하니까 우리 모두 힘내자고 용기를 듬뿍 주고 싶었다. "우리들"이라고 말한 것은 발표자와 나와의 주변자로서의 동료의식에서 비롯된다. 나 역시 남성이 아닌 여성이고, 백인이 아닌 아시아인이고, 미국인이 아닌 한국인이고, 서울이 아닌 대전에 살고 있으며, 서울대 출신이 아니라 충남대 출신이다, 즉, 성, 인종, 지역, 학벌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우리는 동일하게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이 그 "주변성"이 단점이 아니라 강점이 될 수 있는 까닭은 바로, 주변 시점의 객관성, 유연성, 권력화에 대한 비판능력 덕분이다.
"인류의 문명은 끊임없이 그 중심지가 변방으로 이동해온 역사"라고 흔히들 말한다. 중심은 다른 생각을 용납하지 않음으로써 권력화되어 마침내 서서히 와해의 길을 걷게 된다. 이때 주변은 중심의 권력에 저항하고, 유연한 활력을 제공하면서 새로운 중심이 되곤 한다. 푸코도 권력은 저항을 생산하고, 저항은 권력을 변형시키고, 권력은 다시금 저항을 만들어내는 변증법적 순환에 대해 말한 바 있다. 생물학에서도 지배종의 성공은 다른 종이 지배할 수 있는 조건을 내부적으로 만들어내면서, 개인이나 종의 지배는 언제나 한시적일 뿐이다. 영원한 '중심'도, 영원한 '주변'도 없다.
단, "변방이 전정한 힘이 되려면, 중심부에 대한 열등의식이 없어야 한다. 중심부에 대한 환상을 청산하지 않는 한 변방은 오히려 중심부보다 더욱 완고하고 교조적인 틀에 갇힐 수 있다"는 신영복 선생의 말은 가슴 깊이 새길만하다.
변방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충남대 여성젠더학은 자칫 권력화될 수 있는 한국 여성학의 중심 내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하고, 지역성에 기반하는 여성젠더학 담론을 생산하고, 지역 현장의 여성 활동가들에게 이론을 지원하며, 현장의 활동경험을 이론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여성, 인종, 계층, 지역이 교차하는 새로운 담론을 아시아지역 유학생 교육에 활용하여 그 지역의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내년에 설립할 충남대 여성젠더학 연구소는 대학 밖의 지역사회 공동체 여성들을 위하여 페미니즘이 일상화될 수 있도록 아웃리치 프로그램도 운영하여 여성학의 지평을 확대해나갈 것이다. 우리는 '주변'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