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전경. |
대전의 경우 지난주 대비 매매가가 소폭 축소되긴 했으나, 상승세를 유지하면서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감정원이 2020년 11월 3주(11.1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25% 상승, 전세가격은 0.30% 상승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을 살펴보면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25%→0.26%)과 서울(0.14%→0.15%), 지방(0.29%→0.33%) 모두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15%), 울산(0.57%), 인천(0.52%), 부산(0.49%), 대전(0.43%), 경남(0.39%), 대구(0.35%), 강원(0.32%), 경기(0.27%), 충북(0.26%) 등에서 상승했다.
전세 물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전세가가 상승한 것이다. 전세가 상승은 매매가 상승으로도 이어진다. 전세 물량 부족, 상승한 전세가격에 전세 수요자들이 매매 수요자로 돌아서고 있어서다.
시·도별로는 부산(0.72%), 울산(0.58%), 대구(0.39%), 대전(0.34%), 경남(0.34%), 경기(0.28%), 충북(0.25%), 세종(0.23%), 충남(0.17%), 인천(0.14%) 등이 상승하면서 전국적으로 매매가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전의 경우에는 지난주(0.37%) 대비 상승폭이 축소되기는 했으나,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 국토부의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살펴보면 올 초 10억 3000만원에 거래됐던 대전 둔산의 A 아파트 101.79㎡가 지난달에 11억 7000만원에 매매되는 등 아파트 매매가가 점차 상승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부동산업계에선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세난에 따른 매매수요 증가와 주택 공급량 부족, 아파트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매수심리 또한 커져 아파트 매매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집값 상승 요인은 전세난에 따른 전세가 상승, 전세가 상승으로 인한 전세수요자들의 매매수요로 전환, 계속해서 올라가는 매매가에 지금이 아니면 내 집 마련은 어려울 것 같다는 불안감에 따른 매수심리, 지역 공급량 부족 등의 원인으로 분석할 수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대전의 경우 혁신도시 지정과 인근 세종 여파까지 더해지면서 상승세가 유지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승세는 아파트 공급이 많이 풀리는 시점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