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감장 모습. |
대전학생문화교육원 산하 학교도서관지원센터의 미비한 역할과 부족한 인적구조, 포스트 코로나 대비 혁신적인 독서교육 시스템의 필요성이 주로 거론됐다.
학교도서관지원센터 근무 직원은 1명으로 현재 실무연수와 학교도서관 운영 컨설팅, 각종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 토론회 개최, 대출업무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의원들은 2015년 지원센터가 마련됐지만 4년간 인력의 충원이 없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부족도 이와 관련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이어졌다. 대전에 있는 303개 초·중·고등학교에서 사서교사가 배치된 학교도서관은 58개며, 사서교사는 아니지만, 실무원이 근무하는 학교는 22개다. 사서 관련 근무자가 없는 학교도서관이 303개 중 223개 학교나 되기 때문이다.
조성칠 의원은 "4년간 인력이나 여력이 부족했는데,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해당 직원의 업무 과중이 심각한 수준이거나 교육 서비스 질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코로나19로 교육격차와 함께 벌어진 독서교육을 회복하기 위해 포스트코로나 독서교육 대책과 대안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무의미한 온라인 교육이 아닌 언택트 독서 활성화 방안과 도서 택배대출 서비스 등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기현 의원은 "한번 무너진 것을 다시 세우기에 큰 힘이 들기 때문에 독서습관이 무너지고 있는 이 시점 학교도서관지원센터가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회근 대전학생교육문화원장은 "학교도서관지원센터 인력문제에 대해선 미진한 부분이 있어 대안을 찾아보겠다"면서 "도서 택배대출 서비스는 대전시공공도서관협의회 등에서 확대하는 쪽으로 추진해보겠다"고 말했다.
그 외 책 소독기가 비치되지 않아 도서 대출이 불가능했던 사태와 대전에 2곳뿐인 학생도서관의 추가 건립 의견도 나왔다.
한편, 오는 18일엔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 마지막 날로 대전교육청과 지원청, 직속기관 포함 총 12개 기관의 종합 행정감사가 이뤄진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