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냄새와 혀의 의미심장한 관계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냄새와 혀의 의미심장한 관계

  • 승인 2020-11-11 11:03
  • 신문게재 2020-11-12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
게티이미지 제공
20여년 전 어느 겨울에 감기를 호되게 앓아 죽도록 고생을 했다. 비염이 악화돼 축농증으로 발전한 것이다. 매일 치료를 했지만 나아질 기미가 없었다. 콧구멍을 시멘트로 발라 놓은 것처럼 꽉 막혀 도무지 숨을 쉴 수가 없었다. 머리도 깨질 듯이 아팠다. 입으로 숨을 쉬기 때문에 입 안과 목구멍이 바싹 말라갔다. 한 달 가까이 일도, 잠도, 제대로 먹지도 못했다. 차도가 없자 의사는 항생제를 세게 처방했다. 드디어 콧구멍이 뚫리기 시작했다. 아주 천천히, 미세하게 숨구멍이 트이는데 한 줄기 광명을 찾은 심정이었다. 문제는, 미각을 잃어버렸다는 거다. 밥을 먹는데 아무 맛이 안 났다. 종이나 지푸라기를 씹는 느낌이었다. 겁이 더럭 났다. 다행히 축농증이 치료되면서 미각은 다시 살아났다. 냄새를 맡는 후각이 미각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그때 알았다.

비 온 뒤의 숲길을 걸으면 낙엽 냄새가 난다. 물기를 머금은 솔가루나 수북이 쌓인 활엽수 잎새의 눅눅한 냄새. 가을엔 몸의 감각기관이 예민해지는 걸까. 나도 모르게 코를 벌름거리며 킁킁 냄새를 맡는다. 아파트에 사는 사람은 알겠지만 이웃 집 음식 냄새를 공유할 수밖에 없다. 내 집 아래층엔 노부부가 산다. 창문을 열어놓으면 맛있는 냄새가 스멀스멀 올라와 입안에 침이 고인다. 콩나물 삶는 냄새, 구수한 된장찌개 냄새, 어떤 날 저녁엔 삼겹살 굽는 냄새. 정말 환장할 지경이다. 출근 길 빵집에서 풍기는 달콤한 냄새는 또 어떻고. 따끈따끈한 빵 냄새가 털북숭이 사냥꾼이 먹잇감을 잡기 위해 덫으로 놓은 미끼 같다고 나는 종종걸음을 치며 상상하곤 한다. 거부할 수 없는 냄새를 좇아 독이 든 빵을 덥석 받아먹자마자….

세상에는 맛있는 냄새만 있는 게 아니다. 불쾌한 냄새도 많다. 지지난주 후배기자 조훈희와 당진 출장길에 코를 쥐는 냄새에 진저리를 쳤다. 축사 냄새였다. 후배는 해외여행 가면 맛있는 음식 먹는 게 큰 즐거움이라고 했다. 그런데 대만에서의 취부두는 도저히 먹을 수 없었다며 그 냄새가 축사 냄새와 똑같다고 했다. 발효음식의 공통점은 악취다. 한마디로 썩은 내가 풀풀 난다. 청국장, 홍어, 치즈, 젓갈, 된장, 삭힌 청어 등등. 오래된 변사체에서 묵은 된장 냄새가 나더라는 섬뜩한 얘기를 사건 담당 후배가 들려준 적도 있었다. 하여간 극과 극은 통하는 법. 인간은 왜 고약한 냄새에 끌릴까. 장자는 "썩어서 냄새나는 것이 새롭고 기이한 것으로 변한다"고 했다. 구더기가 꼬물거리는 치즈를 유럽에선 최상품으로 친다. 어떤 이들은 장마철 발 냄새 같은 청국장을 질색하지만 난 이 원시적인 풍미가 강할수록 좋아한다.

냄새에는 계급이 있다. 부자 냄새와 기택네 반지하와 같은 가난한 사람의 냄새가 존재한다. 조지 오웰의 『위건 부두로 가는 길』의 하류층 사람들은 냄새가 지독하다. 오웰에게 계층이란 냄새의 문제였다. 웃기는 일화도 있다. 1983년 통치자 전두환은 단식투쟁 하는 김영삼을 방해하기 위한 전략으로, 불고기 등 음식을 차린 밥상을 병상 앞에 갖다놓고 냄새를 풍겼다고 한다. 김영삼은 그때 침을 몇 번 삼켰을까. 내가 사는 동네에 얼마 전 도넛, 꽈배기 등을 파는 튀김 가게가 생겼다. 그런데 20여일이 지나도 손님이 없어 파리만 날렸다. 나는 기름에 문제가 있다고 나름 분석했다. 고소한 기름 냄새가 천지사방에 퍼져야 하는데 쩐 내가 진동하기 때문이다. 하루는 주인에게 "조언해도 될까요? 기름 냄새가 안 좋아서 손님이 없는 거 같은데요"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주인은 "저희 가게는 카놀라유를 써요. 몸엔 좋은데 냄새는 콩기름처럼 고소하지 않죠"라며 배시시 웃었다. 궁금증은 풀렸지만 걱정은 가시지 않았다. 계속 손님이 없으면 어떡하나.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