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적 요소를 인지하는 것이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은 아닐까.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도 많은 곳에서 노력 중이다.
기자도 무심하게 써 왔던 단어를 옳지 않다는 걸 깨닫고 쓰지 않게 됐다. 그동안 써왔던 발언들이 부끄럽기도 했다.
누군가는 장애라는 말을 장난 삼아 쓸 수 있는 자격이 본인에게 허락되지 않았다고도 이야기 하기도 했다.
최근 한 구청장의 장애인 발언이 논란이 됐다. 관련 기사를 확인하고 눈살을 찌푸릴 수밖에 없었다.
결혼을 늦게 했다는 이유만으로 본인을 '특급장애인'으로 지칭했다는 것이다.
정책을 만들고 집행해야 하는 기관의 장인만큼, 소수자와 약자에 대한 이해도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황당할 뿐이었다.
장애에 대한 정의는 '다른 사람들이 보통 행하는 기능에 대한 개인의 능력을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손상'이다.
미혼이 장애가 될 수도 없고, 차별받을만한 요소가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그 발언은 미혼자와 장애인 모두 비하한 셈이다.
논란이 일자 황인호 구청장은 입장문을 통해 사죄했다.
황 청장은 "본의 아니게 오해를 불러일으켜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 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장애인 가족의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고 개원식에서 장애 학생들과 부모님들께 희망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고 전했다.
이어 "다시 한 번 저의 표현이 적절치 못한 점에 대해서 깊이 반성한다"며 "앞으로 장애인 권익 신장과 함께 장애인이 차별 없이 살기 좋은 동구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의도치 않았다는 변명이 너무 많다. 어찌 됐든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가 비교적 높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발언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구청장이 의도치 않았던, 의도했던 그건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거다.
구청장을 보좌하는 다른 직원들이나 정무라인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자리에서 옳지 못한 발언을 했으면, 바로 인정하고 그 자리에서 사과하는 게 맞다. 뒤늦게 사과문을 배포한 들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상처받은 당사자들에겐 전해지지 않을 가능성도 큰데 말이다. 말의 경중과는 상관없이, 진심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잘못은 상처 준 자의 몫이다.
앞으로 장애인이 차별 없이 살기 좋은 동구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그러기 위해선 장애 감수성에 대한 배움부터 먼저 실천돼야 하지 않을까.
김소희 행정산업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