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소통의 지혜 '나한문슬(羅漢?蝨)'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소통의 지혜 '나한문슬(羅漢?蝨)'

  • 승인 2020-10-30 18:0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기린이 사자를 뒷발로 차고 짓밟는 장면이 TV에 나온다. 놀라 멈추어 서서 지켜본 일이 있다. 사자가 새끼 기린을 건드린 모양이다. 분노한 어미 기린이 사자 무리를 공격한다. 자신을 돌보지 않으며 위험을 감수하는 모성애가 경이롭다. 곱게 생기고 순하디순한 눈을 가진 기린이 사자를 공격하다니, 관심이 치솟아 수십 개의 동물 영상을 본다. 기린뿐 아니라 초식동물이 다른 동물을 먼저 공격하는 모습은 보기가 쉽지 않다. 공격받을 때, 위험을 느낄 때 등 공격보다 방어 차원인 경우가 많다.

최고 맹수로 알던 호랑이나 사자도 새끼를 잃는다. 자신조차 스스로 건사하지 못하기도 한다. 절대 강자는 없다. 승패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놀랍게도 전투력 순위 다섯 손가락 안에 육식동물은 없다. 코끼리, 코뿔소, 하마, 기린, 야생 소 순이다. 자신을 지키기 위해 덩치를 키웠을까? 하나같이 덩치가 크다. 사자, 하이에나, 들개 등은 숫자 싸움을 벌인다. 협동 공격, 서로 역할 분담도 한다. 사회성으로 우위를 점한다.

사람은 한없이 나약하다. 여타 영장류와 다르지 않게 손발 사용이 자유롭고, 지능이 뛰어나며 민첩한 장점이 있긴 하다. 혼자는 살지 못한다. 게다가 잡식성이다. 다른 동물과 싸워 이겨야 한다. 가지고 있는 상대적 장점과 사회성 덕분에 오늘이 있다.

대인관계가 좋은 사람을 사회성이 좋다고 하며, 그런 사람을 마당발이라 하기도 한다. 강점이 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무한정 사람을 사귈 수는 없다. 한 명이 맺을 수 있는 최대 인간관계는 몇 명이나 될까? 옥스퍼드 대학 로빈 던바(인류학자, 디지털 전문가) 교수가 세계 여러 부족을 조사했더니, 부족 평균 주민 수가 153 명이었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한 사람이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 인원을 150명이라 주장한다. 던바의 수(Dunbar's number)라 한다. 진정한 관계 형성의 최대 한계라며, 그 이상이 되면 나누는 것이 낫다고 한다. 전투를 위한 최적 인원 역시 150명, 집단을 관리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도 150명, SNS를 통해 맺을 수 있는 친구 역시 150명 남짓이라 주장한다. 정확한 기억의 한계 수치라고도 한다. 이중 진정한 친구는 삼사 명에 불과 하다는 것이다.



관계에서 중요한 하나가 심신의 접촉이다. 그것도 주고받기요, 쌍방향이다. 계산적이지 않은 듯 점잔 빼도, 서로 회계(會計)한다. 누구나 손해 보기 싫어한다. 어떤 언행이 일방적으로 지속 되면, 결국 관계가 소원해지거나 단절된다. 따라서 크든 작든 어떤 표시를 한다. 공감 표시, 반응이 클수록 상대에게 좋은 인상을 준다. SNS에서 '좋아요' 눌러 주거나 댓글 달아주기도 다르지 않다고 한다.

원숭이 이 잡아주기도 지혜로운 관계유지 방법의 하나라 한다. 실제 이 잡기도 하지만, 그저 흉내만 내는 관계유지 행동이기도 하단다. 사람도 이 잡기를 했다. 양지녘에 앉아, 웃통 벗어부치고 이 잡는 광경이 다반사였다. 이가 얼마나 번성하고 일상화되었던지, 구석구석 빈틈없이 모두라는 의미로 '이잡듯' 하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이는 숙주인 포유동물 털에 기생하며 피를 빨아먹고 산다. 사람에게 기생하는 것으로 몸이, 머릿니, 사면발이 3종이 있다. 다른 질병을 매개하기도 하고 가려움증으로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감염시키기도 한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출현이 꽤 오래되었으나 번식력이 강한 탓인지 아직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과밀하고 위생이 불량한 환경에서 만연되는 경향이 있다. 지금은 환경도 많이 개선되고, 퇴치 방법의 발달로 간단하게 구제할 수 있다.

dfdff
이인문 作 '나한문슬(羅漢?蝨)', 18세기, 종이에 담채, 41.5×30.8cm, 간송미술관
그림은 이인문(李寅文, 1745 ~ 1821?, 도화서 화원)의 <나한문슬(羅漢?蝨)>이다. 특이한 소재를 다루었다. 나한은 불제자 중에 번뇌 끊고 지혜 얻어, 하늘과 중생으로부터 공양받는 성자를 의미한다. 아라한(阿羅漢)의 준말이다. 문슬은 '이 잡기' 이다. 계곡물이 시원스레 흐르는 언덕 위, 늙은 소나무가 빼곡한 송림 속 바위에 걸터앉은 나한이 이 잡고 있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이인문 화첩 『한중청상첩(閒中淸賞帖)』 열네 폭 중 하나이다.

이인문은 단원 김홍도와 동갑내기다. 둘은 기량이나 격조에서 쌍벽을 이루었다. 독창성에서 단원에 뒤진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인문은 다방면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으나, 특히 송림 그림에서 새로운 경지를 보여준다.

당시는 글짓기, 글쓰기, 그림 그리기가 전문화되고 분업화되어가고 있었다. 그림 주문이 쇄도하고 매매가 활성화된 탓이리라. 글씨 전담 서예가가 탄생한 것이다. 이인문 화첩의 화평이나 시는 모두 유한지(兪漢芝, 1760 ~ 1834, 조선 문신, 서예가)와 홍의영(洪義榮, 1750 ~ 1815, 조선 문신, 서예가)이 썼다.

그림 좌하에 홍의영이 쓴 화제가 있다. '짙은 눈썹과 흰머리 아무 집착도 없다네(?眉皓首無住著)' 두보(杜甫, 712 ~ 770, 중국 당나라 시인)가 읊은 「희위언위쌍송도가(戱韋偃爲雙松圖歌)」 중간쯤에 나오는 구절이다. 시 전체를 형상화하기보다, 무소유(無所有) 속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소요유(逍遙遊)에 시구(詩句) 하나 차용하여 얹은 듯하다. 자연과의 소통에서 나아가 하나 된 모습, 한없이 편안하며 청량(淸凉)하기 이를 데 없다. 사람과 사람도 그러하면 얼마나 좋으랴.

양동길/시인, 수필가

202009250100205640007814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백석대·백석문화대, '2024 백석 사랑 나눔 대축제' 개최
  2. 남서울대 ㈜티엔에이치텍, '2024년 창업 인큐베이팅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3. 한기대 생협, 전국 대학생 131명에 '간식 꾸러미' 제공
  4. 단국대학교병원 단우회, (재)천안시복지재단 1000만원 후원
  5. 남서울대, 청주맹학교에 3D 촉지도 기증
  1. 1기 신도시 첫 선도지구 공개 임박…지방은 기대 반 우려 반
  2. 올해 대전 분양시장 지형도 도안신도시 변화
  3. "전국 검객들 한 자리에"… 2024 대전시장기 펜싱대회 성료
  4. "전국 검객들 한 자리에"… 2024 대전시장기 펜싱대회 성료
  5.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연내 착공 눈앞.. 행정절차 마무리

헤드라인 뉴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년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가 2024년 가을 문턱을 넘지 못하며 먼 미래를 다시 기약하게 됐다. 세간의 시선은 11월 22일 오후 열린 세종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이하 산건위, 위원장 김재형)로 모아졌으나, 결국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산건위가 기존의 '삭감 입장'을 바꾸지 않으면서다. 민주당은 지난 9월 추가경정예산안(14.5억여 원) 삭감이란 당론을 정한 뒤, 세종시 집행부가 개최 시기를 2026년 하반기로 미뤄 제출한 2025년 예산안(65억여 원)마저 반영할 수 없다는 판단을 분명히 내보였다. 2시간 가까운 심의와 표..

[드림인대전]생존 수영 배우다 국가대표까지… 대전체고 김도연 선수
[드림인대전]생존 수영 배우다 국가대표까지… 대전체고 김도연 선수

"생존 수영 배우러 갔다가 수영의 매력에 빠졌어요." 접영 청소년 국가대표 김도연(대전체고)선수에게 수영은 운명처럼 찾아 왔다. 친구와 함께 생존수영을 배우러 간 수영장에서 뜻밖의 재능을 발견했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본격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김 선수의 주 종목은 접영이다. 선수 본인은 종목보다 수영 자체가 좋았지만 수영하는 폼을 본 지도자들 모두 접영을 추천했다. 올 10월 경남에서 열린 105회 전국체전에서 김도연 선수는 여고부 접영 200m에서 금메달, 100m 은메달, 혼계영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무려 3개의..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속보>="내 나름대로 노아의 방주 같아…'나는 자연인이다' 이런 식으로, 환경이 다른 사람하고 떨어져서 살고 싶어서 그런 거 같아요." 22일 오전 10시께 대전 중구 산성동에서 3층 높이 폐기물을 쌓아온 집 주인 김모(60대) 씨는 버려진 물건을 모은 이유를 묻자 이같이 대답했다. 이날 동네 주민들의 오랜 골칫거리였던 쓰레기 성이 드디어 무너졌다. <중도일보 11월 13일 6면 보도> 70평(231.4㎡)에 달하는 3층 규모 주택에 쌓인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청소하는 날. 청소를 위해 중구청 환경과, 공무원노동조합, 산성동 자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