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마스크는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수요소가 됐다. 그리고 여기, 또 다른 마스크가 있다. '안면 무기화 세트'는 안면인식 기술로 탐지될 수 없는 형태가 불분명한 무정형플라스틱 가면이다. 이는 안면인식 기술이 초래하는 불평등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안면인식 기술이라고 하면 간편하지만 확실한 스마트폰 잠금과 같은 보안 기술의 편의성과 CCTV를 통한 범죄자 검거 등 긍정적일 것이라고만 생각한다. 하지만 안면인식을 통해 동성애자를 분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보면, 성 소수자들에게 얼마나 적대적으로 작용 될지 그들의 입장에서는 미리부터 두려움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이런 식이라면 인종차별 문제와 페미니즘, 그 밖에 국경 보안 기술이 일으킨 폭력과 민주주의 등 사회 소수자들도 마찬가지다. 이런 가운데 안면인식 기술이 아주 보편화해있는 중국은 인권 활동가나 소수 인종을 범죄자로 분류해 하나의 인권 유린을 하는 동시에, 국민을 통제하려는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정치적 수단으로 사용될 시 개인의 자기 결정권 및 사생활 침해 등 또 하나의 폭력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우리는 본인도 모르는 새에 얼굴이 예사로 촬영되고, 데이터가 쌓이는 현실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방지하고자 안면인식을 무력화시킬 마스크가 필요하고, 이러한 생각이 당연시되고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기술이 발전하는 것처럼 예술도 발전하고 있다. 예술가들은 인공지능을 과학 기술에서 예술로 확장해 인간의 사고를 탐구한다. 인공지능을 예술로 활용하는 과학자, 공학자, 예술가가 새로운 21세기형 예술가로 주목되고 있는 만큼, 예술은 인간의 고유한 영역이 맞다. 창조적인 사람들의 창조적 용기로 새로운 과학예술이 탄생했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술, 현시점 우리에게 필요한 또 다른 마스크를 만든 것이다. /한남대학교 정치언론학과 유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