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꽃밭으로 가기 위해 몸을 가볍게 만드는 망자들의 모습. |
23~24일 이틀간 옛 충남도청에서 선보일 '적벽대전' 공연을 앞두고 막바지 연습 중이던 우금치의 리허설을 함께했다.
타이틀 적벽대전은 수많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붉을 '적(赤)', 푸를 '벽(碧)'은 남과 북, 음과 양, 좌우, 진보와 보수, 여자와 남자로 구분되는 대립과 이념적 갈등을 의미한다. '대전'은 말 그대로 큰 전쟁을 뜻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대전이라는 지명의 의미로도 쓰인다.
성장순 우금치 극장장은 "올해는 한국전쟁 70주년이기도 하고 산내 골령골에서 유해발굴 중이다. 적벽대전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대전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을 다룬다. 대전 방문의 해를 맞아 슬프고 아프지만, 대전을 알릴 수 있는 공연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리허설은 이름 없는 무명의 망자들이 흙더미에서 나와 서천 꽃밭으로 올라가기 위해 몸을 가볍게 만드는 장면부터 시작됐다. 근심과 걱정, 옛 기억을 품고 있으면 결코 몸이 가벼워지지 않기에 이들은 의식적인 행위를 통해 분노도 증오도 털어버리기 위해 애를 썼다.
망자의 발목을 잡고 있는 기억은 4.3사건, 보도연맹과 여순반란, 한국전쟁과 대전형무소, 골령골 학살이다. 이념과 권력자들에 의해 억울하게 희생당한 영혼들이 이승을 떠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적벽대전 공연에서 눈여겨봐야 할 것은 탈과 흙이다. 망자들이 나오는 대목은 과거 회상신으로 배우들이 탈을 쓰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흙을 칠한 채 등장한다. 망자들은 이름이 없기에 배우들의 얼굴을 노출하기보다는 '탈'이라는 장치를 이용해 무명에 포커스를 맞췄다.
또 옛 충남도청 건물에 4대의 프로젝터를 상영해 웅장함을 더할 예정이다.
성장순 극장장은 "연습을 하면서 배우들도 슬프다. 중간중간 대사 하나하나가 울컥하게 한다. 오래전부터 골령골 추모제에 참여했었기 때문에 더욱 마음이 아프다"며 "대전형무소와 골령골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 이런 역사로 인해 대전은 어떤 도시였는지 알 필요가 있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번 공연을 위해 우금치 단원들은 독립운동, 대전 탄생 배경, 골령골 등 전문가들을 초청해 강연을 들었다. 강연을 듣는 것은 몰입을 위한 과정, 일종의 담금질인 셈이다.
다만 코로나19로 지난해 단재 신채호 선생을 주연으로 했던 '하시하지' 공연만큼 관객석을 많이 준비하지 못했다. 이틀 공연 각각 150석 내외로 관객을 맞이한다. 공연 첫날에는 유튜브 생중계 관람이 가능하다. 대신 11월 19일부터 사흘간 우금치 공연장에서 극장버전 적벽대전을 만날 수 있다.
'적벽대전'은 정보문화산업진흥원 공모 '지역문화콘텐츠개발사업'이다. 올해 첫 지역으로 이관된 이 사업은 향후 공연의 지속가능성과 극장 상주 인원 등을 평가해 우금치의 적벽대전이 선정했다.
성장순 극장장은 "대전에서 일어난 사건을 중심으로 대전에서 공연된다. 대전에 가면 적벽대전을 볼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지속가능한 공연으로 만들고 싶다"고 설명했다.
'적벽대전'은 류기형 예술감독이 집필과 연출을 맡았고, 대전시립무용단 육혜수 수석단원이 안무를 맡았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