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운 교감 |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해 학생들이 등교하지 못하던 때에도 겨울 추위를 이겨낸 새싹은 얼굴을 내밀고 어느 날엔가는 저 혼자 꽃을 피우고 있었다. 연분홍 얼굴을 하고 수줍은 듯 하늘하늘 피어오른 ‘낮달맞이꽃’들을 보며 이렇게 예쁜 모습을 우리 아이들이 못 보고 꽃들이 다 지고 나면 등교를 하겠구나 싶어 안타까웠다.
지난겨울에 시작된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졸업식, 입학식은 물론이고 앞으로 학사일정을 어떻게 해야 하나, 코로나 19에 감염되는 학생이나 선생님이 나오면 어쩌나 하는 걱정에 늘 머리는 복잡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우울했다. 그럴 때면 감성숲으로 나가 씩씩하게 꽃망울을 맺고 무심하게 피어난 산수유, 해당화, 앵두꽃, 산딸나무, 작은 야생화들을 둘러보고 삼백 년이 넘은 팽나무 앞 벤치에 앉아 하늘을 바라보곤 했다.
노거수인 팽나무는 몸통의 반이 석회화돼 있음에도 봄이면 연둣빛 새잎을 피워내고 점점 무성하게 자라 작은 새들의 쉼터가 된다. 푸른 잎사귀들과 그 사이로 보이는 맑은 하늘, 나뭇잎을 흔드는 바람, 작은 새의 지저귐까지 10분여의 짧은 시간이지만 그것만으로 머리는 고요해지고 마음이 가라앉는다.
평교사 시절, 나는 우리 반 아이들이 각자의 소중함을 알고 서로 배려하며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게 하려고 강낭콩을 작은 화분에 심고 돌보며 기르기, 우리 반 나무를 정하고 사랑의 인사 해주기, 학교 뜰 탐험하기 등의 자연과 함께하는 활동을 했다. 지금도 흙을 밟고 식물을 가꾸며 자연과 가까이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인성을 기르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선생님들에게 이야기하곤 한다.
진잠초등학교 근무 3년이면 소위 '꽃알못'(꽃이나 식물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벗어날 수 있을 만큼 우리 학교는 학교 뜰과 숲에 많은 식물이 자라고 텃밭까지 가꾸는 학교다. 이런 환경으로 학교는 자연과 함께하는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학교에서 거둬들인 매실과 모과, 감을 가지고 5·6학년 학생들이 매실청과 모과청을 담고 감말랭이를 만든 후 자신들이 만든 것을 맛보는 메이커 활동을 했다. 외부 손님이 오실 때면 매실 음료와 모과차, 감말랭이를 내놓으며 학교에서 딴 것이라며 자랑하기도 했다.
또 유치원과 1·2학년 학생들은 팽나무가 있는 감성숲에서 뛰놀며 꽃과 나무와 친구 되기, 나뭇잎과 열매로 여러 가지 만들고 놀이하기, 앵두를 따서 먹어보기, 3·4학년 학생들은 우리 학교 뜰 탐험하고 나무 지도 만들기 활동을 했다.
올해 학교 텃밭에 토마토, 가지, 고추, 고구마, 상추, 쑥갓, 수세미 등을 심었다. 6학년 학생들은 등교하는 날이면 정성스레 물을 주고 잡초를 뽑으며 가꾸고 있다. 1·2학년 학생들은 거리두기를 하며 팽나무 교실에서 야외 수업을 하고 유치원 동생들과 함께 풀밭에서 방아깨비를 잡기도 한다. 마스크를 쓰고 있지만, 아이들의 눈은 빛나고 웃음이 느껴진다. 학교 텃밭에서 수확한 수세미를 삶으니 겉껍질이 뭉그러지면서 속에 있던 섬유질 모양이 드러난다. 수세미를 건져 껍질을 벗겨내고 씨앗을 툭툭 털어 말리니 천연 수세미가 만들어졌다. 감성숲을 산책하고, 텃밭과 학교 뜰의 잡초를 뽑고 토마토의 순을 따주고 가지를 수확하며 수세미를 만드는 동안 코로나19로 우울했던 마음이 평안해졌다.
코로나19는 어른이나 아이를 가리지 않고 생각지 못한 일을 겪게 하고 마음이 힘든 코로나 블루라는 현상을 가져왔다. 하지만 식물과 자연이라는 친구와 함께하는 한 우리에겐 어려움을 이겨낼 쉼과 힘을 줄 것이다.
오경운 진잠초등학교 교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