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나물국밥은 전라도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전주 콩나물국밥이 유명한 이유다. 값도 싸고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콩나물은 요리도 쉽다. 고춧가루 풀고 질 좋은 새우젓으로 간한 국에 밥을 말아 후루룩 마시면 속이 확 풀린다. 애주가들의 아침 해장으로도 좋다. 요즘은 시장에서, 마트에서 콩나물을 사다 먹지만 집에서 콩나물을 길러 먹던 시절이 있었다. 콩 추수가 끝나고 겨우내 방 윗목엔 으레 콩나물 시루가 자리를 차지했다. 고무다라 위에 나무받침대를 걸치고 콩나물시루를 놓는다. 보자기에 덮인 콩은 식구들이 오며가며 물을 주면 하루가 다르게 쑥쑥 커간다. 싹이 삐죽이 나온 콩은 갓 태어난 강아지들처럼 앙증맞고 신기했다. 그 귀여운 모양과는 다르게 어릴 적엔 콩으로 만든 음식은 무조건 싫어했다. 콩 특유의 비린내가 도깨비만큼이나 무서웠다. 나이를 먹으면서 입맛이 순해진 지금은 밥할 때 콩을 꼭 넣는다.
1991년 12월 생애 첫 직장에 입사했다. 기대와 설렘으로 편집국에 들어섰지만 업무는 고됐다. 국어교육을 전공했다는 이유로 만만하게 덤볐는데 교열이라는 것이 생명을 단축시키는 업이었다. 취재기자가 원고지에 쓴 기사는 암호 해독하는 수준이었다. 한자는 또 왜 그렇게 많은 지. 나와 동기들은 호랑이같은 교열국장님에게 불려가 혼나는 게 하루 일과였다. 점심 때 잔뜩 주눅 든 채 파김치가 되어 선배들 뒤를 줄레줄레 따라간 곳이 회사 앞 용두동 시장 골목이었다. 거긴 맛있는 밥집이 많아 항상 손님들로 북적였다. 그 중 콩나물국밥은 최고였다. 뜨거운 국물을 부었다 따랐다 하는 토렴식 국밥은 지금 생각해도 '찐'이었다. 탱글탱글한 밥알들이 입안에서 살아 움직였다. 감칠맛 나는 뜨거운 국물과 함께 콧물을 훌쩍이며 한 뚝배기 비우고 나면 얄미운 국장님도 부처님 가운데 토막으로 보였다.
그런데 어느 날 못볼 걸 보고야 말았다. 여자 선배들과 밥을 먹다가 거짓말 조금 보태서 토끼만한 쥐를 발견했다. 잿빛 털의 꺼벙한 쥐가 까만 눈을 반짝이며 두리번거리다 구석에 난 구멍으로 쏙 들어가는 게 아닌가. 우리는 비명도 못 지르고 나와 버렸다. 워낙 허름한 시장 골목이라서 쥐가 없을 리 만무했다. 하여간 그 후로 그 식당엔 얼씬도 안했다. 밥맛이 싹 달아났지만 식당은 오랫동안 성업했다는 얘기를 바람결에 듣곤 했다. 그 놈의 쥐가 하필 그때 나올 게 뭐람! 의사들은 나트륨이 몸에 안 좋다며 국물은 먹지 말고 건더기만 건져 먹으라고 조언한다. 오래 전 아는 후배가 젓가락으로 밥알을 세며 그렇게 먹는 걸 보고 하마터면 수저를 빼앗을 뻔 했다. 거실 벽에 써 붙인 건 아니지만 나의 가훈은 '께적께적 먹는 사람과는 상종하지 말자'였기 때문이다. 쌀쌀해진 날씨, 뜨끈하고 칼칼한 콩나물국밥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