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숙 초대 이응노연구소장. |
김현숙 초대 소장의 어깨가 무겁다. 한 장르에 묶어 표현할 수 없는 '거장(巨匠)' 고암 이응노의 작품 세계를 해체하고 깊이 파고들어 새로운 뿌리를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대전에 이응노가 있는 것은 큰 행운"이라 말하는 김현숙 초대 이응노연구소장을 만났다.
김현숙 소장은 "미술계에서도 연구소 설립을 고무적으로 바라보고 있고, 연구자에게도 귀한 기회다. 시작이라 미흡하겠지만, 고암의 세계를 질적으로 높이는 데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응노연구소의 첫 과제는 수장고 재정리 등 아카이브 체계화다. 연구소는 수많은 재료를 가지고 길을 만들어 주는 역할임을 강조한 김현숙 소장의 의지가 부여된 것으로 고암의 역사를 처음부터 다시 쓸 계획이다.
김현숙 소장은 "연구소의 역할은 눈에 보이는 작업이 아니다. 기반을 튼튼하게 해주는 것으로, 연구자를 확대하고 고암을 디테일하게 볼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연도를 추적해 연보를 수정하고, 수장고 작품을 번역해 소장품 선집과 고암 논총 발간도 예정돼 있다. 여기에 수장고 디지털화로 연구자와 대중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이응노연구소 설립 취지와도 일맥상통한다.
김현숙 소장은 함께 활동하는 7명의 연구위원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전문 분야가 다른 만큼 새로운 시각과 인적네트워크가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김현숙 소장은 "고암의 콘텐츠는 미술뿐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과도 연결될 수 있다. 연구소가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업을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위원들의 의견을 합치해 간다면 탄탄한 결과물이 나오지 않겠느냐"며 대전시와 학계의 적극적인 지원도 당부했다.
대중에게도 열린 공간으로의 미술관을 만들어주고 싶다는 목표도 있다.
김현숙 소장은 "연구소는 대중교육, 시민강좌,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를 쉽게 전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대전역사와 근대 그리고 고암을 연결하는 강의 등 대중이 미술관에서 휴식하고 향유하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세계적인 작가 이응노가 대전에 있다는 것이 청년예술가와 시민들에게 자랑거리이자 자부심이 됐으면 한다"며 "연구소가 생겼다는 것은 보여주기를 넘어 품격과 질을 갖출 수 있게 됐다는 의미다. 연구자로서 비전을 갖고 흔들리지 않고 걸어가겠다"고 말했다.
김현숙 소장은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후쿠오카 아시아미술관 객원 큐레이터, 고암미술문화재단 작품수집심의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